국무회의서 기념일 제정 의결
내달 16일 창원서 공식 행사
관련 단체 "늦었지만 환영"

박정희 정권의 유신체제에 맞선 부마민주항쟁이 40년 만에 국가기념일로 지정됐다. '10·16부마민주항쟁' 기념일은 51번째 국가기념일이 됐다.

이전까지는 부산·창원 지역 부마항쟁 기념사업 관련 단체가 따로 기념식을 열었지만, 올해 40주년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은 첫 정부 행사로 10월 16일 창원에서 열린다.

행정안전부는 17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부마민주항쟁 기념일 제정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령안'이 심의·의결됐다고 밝혔다.

부마항쟁은 부산·마산 시민들이 유신 독재에 항거해 일어난 대규모 민주화운동이다. 1979년 10월 16일 부산에서 처음 시작돼 같은 달 18일 창원(당시 마산)지역까지 확산됐다. 수만 명의 시민과 학생들이 거리로 나와 외친 "유신 철폐! 독재 타도!" 울림은 유신체제를 끝내는 계기를 만들어냈다. 부마항쟁은 1980년 5·18광주민주화운동과 1987년 6월 민주항쟁 정신으로 이어졌으며, 1960년 4·19혁명과 함께 '4대 민주화운동'으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4·19혁명은 13년 만인 1973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됐다. 5·18광주민주화운동(1997년)과 6·10민주항쟁(2007년) 역시 각각 17년·20년 만에 국가기념일로 지정됐지만 부마항쟁은 40년이란 세월이 걸렸다. 1979년 부마항쟁 이듬해 발생한 광주 5·18민주화운동이 희생자가 많은 등 피해 규모가 커 상대적으로 부마항쟁에 대한 국민적 인식이 낮았기 때문이다. 또 지역 내 보수성향 정치색이 짙어지면서 제대로 된 평가가 늦어진 데 따른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 부산일보 사진기자 출신인 정광삼(81) 한국사진작가협회 부산시지회 자문위원이 최근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에 기증한 40년 전 부마민주항쟁 당시 사진. 당시 신문 지면에 실리지 않은 것으로 정 자문위원이 자료 확보 차원에서 찍은 것이다.  /연합뉴스
▲ 부산일보 사진기자 출신인 정광삼(81) 한국사진작가협회 부산시지회 자문위원이 최근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에 기증한 40년 전 부마민주항쟁 당시 사진. 당시 신문 지면에 실리지 않은 것으로 정 자문위원이 자료 확보 차원에서 찍은 것이다. /연합뉴스

부마항쟁 발생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자 지역사회는 늦었지만, 환영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최갑순 부마항쟁기념사업회장은 "민주항쟁 중에서 유일하게 국가기념일로 지정이 안 됐는데 일단 고맙고, 반갑고 환영한다"며 "국가기념일 제정 의미는 국민이 부마항쟁의 의미와 이유를 되새기고 잘못된 역사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국에서 진정한 민주화가 이뤄져 누구든 국가 권력으로부터 개인의 자유를 침탈당하는 일이 없길 바란다"고 했다.

허진수 부마항쟁진상규명위원회 위원은 "부마항쟁이 40년이나 인정받지 못한 것은 우리 탓이다. 지금이라도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것은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시절부터 부마항쟁 의미를 강조했기에 가능했다"고 말했다. 허 위원은 "6월 항쟁이 일어나기까지 민주화 운동을 하고 국가로부터 공을 인정받은 사람들이 (가칭)민주화운동동지회를 발족하고자 한다. 부마항쟁 국가기념일 지정을 계기로 부마항쟁에 참여해 고통받은 사람들이 국가유공자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힘을 보탤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가기념일로 치르는 제40주년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은 오는 10월 16일 창원시(장소 미정)에서 열린다. 이번 기념식은 '부마 1979, 위대한 민주 여정의 시작'을 주제로 열리며, 행정안전부와 부마진상규명위원회가 주최하고 부마항쟁기념재단이 주관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