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산업에 대한 일본 수출규제가 사회적 관심을 받는 가운데 국내 소재부품산업 성장전략 논의도 많아지고 있다. 각계각층에서 다양한 아이디어와 대책들을 제시하고 있다. 지역사회 주체로 경남도가 적극적으로 나서 중앙정부의 결정에 속도를 붙일 필요가 있다. 이번 기회에 근본적인 변화를 꾀할 수 있는 획기적인 조치가 나와야 한다는 말도 나오고 있다.

삼성·SK로 대표되는 국내 굴지의 반도체 기업들이 부품 공급업체인 일본 중소기업들에 휘둘려 생산 차질을 빚을 수 있는 희한한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기업 거래 '갑을 관계'에서 을이 슈퍼 갑을 상대로 물품을 공급하지 않는 황당무계한 경우가 벌어진 것이다. 그러나 슈퍼 갑이 갑의 입장을 고수하려면 다른 회사에서 물품을 제공받으면 그만이지만, 우리 반도체 기업들은 국내 중소 소재부품 육성을 등한시한 원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일본 중소기업에 의존해 상품을 생산해 온 경영 관례를 두고 무지의 소치라고 조롱만 하기는 곤란하다. 자유무역이 기본상식처럼 된 21세기에 국가가 나서서 경제보복을 하는 경우란 미국의 대외정책을 제외하곤 사실상 전무했기 때문이다.

아베 정부 경제보복 조치는 일본 헌법 개정을 통한 군국주의 부활이라는 시나리오의 첫 단추가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이렇게 굴절된 한일관계를 바로잡으려면 앞으로 많은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 그러나 소재부품 산업은 지금이 부품 국산화 적기다. 그 동안 일본 중소기업이 안정적으로 누려온 공급자 위치를 이젠 국내 기업들로 교체해야 한다는 당위적인 주장이 설득력을 높이고 있다.

물론 국내 소재부품기업들은 당장 기술개발조차 감당하기 벅차다고 하소연할 수도 있다. 기업들의 부족한 여력을 지자체·정부가 보충하여야 한다. 특히 소재부품산업 육성에 필요한 기술개발과 지원을 담당할 산학 클러스터의 형성에 경남도가 적극 개입할 필요가 있다. 김경수 경남지사는 창원에 소재한 재료연구소를 원으로 승격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경남도가 산업현장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