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일전쟁·태평양전쟁 시기 일제가 동원한 위안부 피해자 숫자는 3만~40만 명에 달한다. 편차가 큰 이유는 일제가 관련 기록을 다 폐기했으며, 일본군 부대마다 상황이 달랐기 때문이다. 당시 전선에 나가 있던 일본군은 약 300만 명이다. 어떤 부대는 위안부 1명이 군인 100명을, 어떤 부대는 30명을 상대하기도 했다. 또한 부대마다 위안부 교대 횟수도 달랐다. 이렇게 장님 코끼리 다리 더듬는 식으로 만들어진 것이 저 위안부 피해자 숫자다.

대한민국 정부는 이 숫자의 편차를 줄이고 진상을 더 상세하게 규명하기 위한 연구·조사는 거의 하지 않았다. 다만 위안부 할머니들의 증언을 기록한 것에 그쳤다. 지금 나와 있는 위안부 관련 연구자료는 모두 일본 학자들이나 한중일 관련단체가 조사한 것이 대부분이다.

일제가 동원한 위안부 피해자 가운데 70~80%는 조선인이고, 그 가운데서도 대부분은 '남선인(한반도 중·남부지방 사람들)'이라고 전해진다. 일본 연구에 따르면 이들 가운데 약 75%는 이역만리에서 죽고, 25%만 살아 돌아온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일본군 위안부 관련 한일 협상 과정을 보면 이 죽음에 대해서는 전혀 논의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들은 이제 몇 명 남지 않은 할머니들을 대상으로 할 뿐이다. 그래서 나온 것이 10억 엔(약 97억 원)이라는 얄팍한 돈일 것이다.

임종금-기자.jpg
최소 1만 5000명에서 최대 20만 명 이상으로 추정되는 죽음은 이렇게 말소됐다. 상당수가 일본군 퇴각과정에서 조직적으로 학살한 것으로 추정되고 증언 또한 있다. 그런데 피해자 숫자도 훨씬 적고 희생된 숫자도 적은 동남아 국가와 비교하며 넘어가자는 대통령의 연설을 듣고 있자니 내가 꿈을 꾸는 게 아닌가 싶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