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료·문화 여건 차이 고려해야…귀농·귀촌지원센터 통해 사전 교육을

삶의 터전을 도시에서 농촌으로 옮기는 귀농·귀촌 인구가 늘고 있다. 200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퇴직 후 남은 생을 자연과 함께 벗하며 살겠다는 마음으로 이주한 사람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경제활동이 왕성한 30~40대 젊은층에서 농촌에서 새로운 삶을 개척하기 위해 귀농·귀촌을 선택하는 사례가 빈번해졌다. 반대로 도시로 되돌아오는 사람의 수도 적지 않다.

통계청이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귀농가구가 2년 연속 1만 가구를 넘어섰다. 지난해 귀농가구 수는 사상 최대인 1만 1220가구로 집계됐다. 2001년 880가구에 불과했던 귀농가구 수는 2004년 1302가구, 2008년 2218가구, 2009년 4080가구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1년 1만 503가구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1만 가구를 넘어섰다. 10년만에 귀농가구가 10배 넘게 증가했다. 경남은 1434가구로 경북 2080가구, 전남 1733가구에 이어 전국 세 번째로 많은 귀농인구를 기록했다.

한 가구의 가족수를 2~3명으로 기준할 때 최대 3만 명 정도가 도시를 떠나 농촌으로 이동한 셈이다. 이 숫자는 도시로 떠나는 농촌 사람보다 훨씬 적지만 나름 의미가 있다. 지금 우리 농촌의 현실은 고령화를 넘어서 이미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했다. 이 같은 추세라면 10년 안에 마을의 존재가 사라지는 곳이 부지기수다. 마을의 형태가 남아있다고 해도 겨우 3~4가구만 남게 될 것이다. 농촌의 붕괴는 생명의 터전을 잃게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이런 현실에 비추어 귀농과 귀촌은 농촌에 새로운 활력을 부르는 일이다. 인구 감소세가 심각한 군 단위 지방자치단체마다 파격적인 귀농 조건을 내걸고 한 가구라도 더 끌어들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외환 위기 이후 일시적인 귀농이 베이버부머로 이어지면서 이젠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하지만, 귀농 자체가 성공과 편안한 노후를 보장해주지 않는다. 다시 도시로 돌아오는 이른바 '역귀농'의 숫자가 6.5%에 이른다는 통계가 있지만 실제로는 이보다 훨씬 많다는 게 정설이다. 도시보다 우수한 자연환경과 저렴한 주거 비용만 놓고 본다면 농촌이 도시보다 훨씬 살기 좋은 곳이다.

그렇지만 오랜 도시생활에 익숙한 사람에게는 교육, 의료, 문화, 교통 등 불편한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귀농을 통해 새로운 희망을 쌓기 위해서는 이런 불편함을 감수하거나 이것조차 즐길 수 있는 마음의 여유가 있어야 한다.

귀농은 삶의 형태를 송두리째 바꾸는 것으로 농촌생활을 모르는 사람에게는 모험이다. 도시에서 직장을 바꾸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문제다. 혼자서 결정할 문제도 아니다. 가족 구성원 전체의 동의를 얻어내야 하는 절차상의 어려움도 따를 수 있다. 귀농 전에 철저한 준비와 학습을 선행하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요즘 여러 단체에서 운영하는 귀농·귀촌지원센터를 통해서 사전지식을 습득하고 먼저 정착한 선배 귀농인의 경험담을 귀담아 들어야 한다.

   

농촌은 도시와 다르게 공동체 의식이 매우 강한 곳이다. 정착하는 마을 주민의 마음을 얻어야 한다. 가진 것이 많다고 동네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는 집을 짓거나 농사에 대한 얄팍한 지식만 믿고 덤비면 실패로 이어진다. 항상 겸손한 마음으로 동네 주민을 대하고 농사에 관한 노하우를 직접 발로 뛰며 배우려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도시의 직장생활도 그렇듯이 시간과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자연에서 새로운 삶을 일구는 귀농이 '희망'으로 거듭나려면 그만한 대가를 치러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