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운동사업회 9월 입지 확정 방침…신청 예산 146억 원 "서울 건립 기준"
한국민주주의 전당 입지가 9월께 확정될 전망이다. 하지만, 마산 유치는 회의적인 분위기다.
한국민주주의 전당 업무를 담당하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국회 예산 심의가 시작되는 9월께 입지를 확정할 방침이다.
현재 안전행정부는 기획재정부에 설계비, 건축비 등 내년 예산 146억 원을 신청해 둔 상황이다. 이 예산은 오는 9월 정기국회에서 다뤄진다.
마산 유치가 불투명한 부분은 146억 원이 서울 건립을 염두에 둔 예산이기 때문이다.
서울은 서울시청 남산별관(구 남산 중앙정보부 건물)을 리모델링하는 경우이기에 200억 원이면 가능하다. 하지만, 다른 지역은 신축을 해야 해 사업비가 훨씬 증액되며, 세 곳에 분산하면 적어도 1000억 원 이상의 사업비가 들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건립 위치가 확정된 것은 없고 논의 중이라는 원론적인 입장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예산 신청은 서울을 기준으로 했다고 밝혔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관계자는 "아직 어디에 지을지 혹은 서울시, 창원시 마산, 광주시에 분산해 건립할지 결정되지 않았다. 국회 예산 심의가 시작되는 9월, 늦어도 10월에는 확정할 것"이라며 "현재 지역추진위와 간담회를 진행하면서 의견을 청취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예산과 관련해서는 "현재 정부에 신청해 국회에 올릴 예산은 서울을 기준으로 이사회에서 예산 심의를 해 결정한 것이 맞다"라고 설명했다.
또 이 관계자는 "지난 5월 30일 민주주의 전당 건립 범국민추진위원회 회의에서 서울을 중심으로 지역에 기능과 역할을 분담할 방법도 논의하자는 것까지 결론이 내려진 상황"이라고 전했다.
한국민주주의전당 마산유치위원회(위원장 변승기·김오영)도 지난 8일 대책회의를 개최해 견해를 전했지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의 입장은 여전한 셈이다.
하지만, 유치 경쟁이 치열해 올해 역시 입지 선정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많다.
광주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 공약으로 채택했지만 임기가 끝나도록 결정을 못 했다.
이후 박근혜 대통령이 마산 유치를 공약화하면서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다. 지자체마다 민주주의 기여도, 국가균형발전 등을 들어 유치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있다.
이 탓에 지난해 국회 예결위까지 거쳐 78억 원의 예산을 확보했지만, 지역 정치권 등의 반발과 복지예산에 밀려 삭감됐다. 올해도 1차 추가경정예산에 152억 원의 반영을 요구했지만 제외됐다.
이에 대해 마산민주공원건립추진위원회 김영만 대표는 "어느 한 쪽 민주주의 역사에서 소중하지 않은 곳이 없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와 정부는 세 도시가 윈윈할 수 있도록 분산 건립하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며 정치권에 대해서도 "정치권에서 갈등을 조장하고 경쟁체제로 끌고 가면 시간이 지난다 해도 결정이 어려울 것이다. 정치권도 갈등, 경쟁보다는 화합 차원의 해답을 찾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민주주의전당 마산 유치 가능성 확대
- 민주주의 전당 마산 유치, 새누리 지역 의원 단합
- [사설]민주주의 전당 유치, 기본 준비부터
- "창원시, 민주주의전당 유치 적극 나서라"
- 김오영 의장 "민주주의 전당 분산 안될 말"
- 민주화기념사업회, 민주주의전당 분산 제안
- 창원시, 한국 민주주의 전당 유치 본격 돌입
- 마산시민연합, 청사 마산결정 촉구
- [바튼소리]3·15의거 그리고 '민주주의 전당'
- [독자투고]3·15의거의 '분노'와 '민주주의 전당'
- 민주주의전당 마산유치위 결성…대표성 논란
- 창원 국회의원 '민주주의 전당 문제' 대응 본격화
- 들인 공이 얼만데…민주주의 전당 서울에 뺏길라
- "민주주의전당 마산유치, 진정성 있나"
- 직원들 편하자고 서울에? 민주주의전당 표류중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