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남산 옛 중앙정보부 터 건립추진 행보 활발…경남 의원들 반발

민주화운동 기념관(민주주의 전당) 건립 논란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서울 남산자락 옛 중앙정보부 터에 민주주의 전당을 건립하자는 논의가 고개를 들면서 마산 유치를 주장해온 경남지역 정치인들이 발끈하고 있다.

다수의 경남 출신 국회의원들은 20일 "민주주의 전당은 이 땅에 민주화라는 씨를 뿌리고 발아시킨 상징적인 장소에 건립돼야 한다"며 "중앙정보부 터는 민주열사들에 대한 고문과 폭행 등이 자행되던 곳"이라고 반대 의사를 나타냈다. 특히 "이런 네거티브적인 장소보다는 민주화에 대한 시민의식이 싹튼 상징적인 곳, 즉 포지티브적인 장소에 건립하는 것이 취지에도 맞다"고 평했다.

한 의원실 보좌관은 "수도 서울에 건립하는 것은 국가의 균형발전이라는 측면과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이라는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는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공약 '민주화 성지인 창원 마산에 마땅히 민주주의 전당이 건립돼야 한다는 것'과도 배치된다.

경남 정치권의 반발 여론도 고조되고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서울시가 남산에 터를 내주기로 했으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이미 부지에 대한 타당성 조사 등에도 착수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민주주의 전당 건립은 민주화 운동 당사자는 물론 국민적 공감대가 이뤄진 이후에 논의돼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국민 저항은 물론 민주주의 전당 건립 의미까지 퇴색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난해 국회는 민주주의 전당 건립을 위해 행정안전위원회의 행정안전부 예산 예비심사 중 '민주화운동 기념관(민주주의 전당) 건립비' 60억 원을 증액 요청했지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이 예산을 전액 삭감했다. 하지만 현실은 진행형이다.

새누리당 이주영 의원은 이번 사안에 대해 "서울 남산의 옛 중앙정보부 터에 민주주의 전당을 짓자고 하는데, 이는 잘못된 계획으로 관련 예산은 편성되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못 박았다.

특히 "민주주의 전당 건립은 역사성과 당위성은 물론 정치·사회적 측면 등 여러 가지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며 "역사적으로 마산은 이승만 자유당 독재정권에 항거한 한국 최초의 민주화 운동인 3·15의거와 부마항쟁의 진원지로, 역사의 물줄기를 두 번 바꾼 우리나라 민주화 운동의 본산"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의원실 관계자도 "마산은 물론 광주, 서울 등에서 각기 유치 필요성을 주장해 온 점 등 입지 선정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음을 고려해 정부에서는 2013년도 예산안에 사업비를 편성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어 "지난 18대 국회에서는 당시 재적의원 전원(293명)이 3·15의거 국가기념일 제정 결의안에 동참해 통과됐으며, 박근혜 당선인도 민주주의 전당 마산 유치 공약을 내걸었다"고 확인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