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홍준 "제 짧은 소견" 해명…야권·노동계 사퇴 촉구, 선관위 진의 파악 나서
안홍준 의원이 지난 22일 창원상의 초청 간담회에 참석해 '대선 때 야당을 지지하려면 이민 갈 각오하라'고 발언한 데 대해 야당이 발끈했고, "(안홍준 의원은) 정치인의 자질이 없다"는 비판이 불붙고 있다. "안홍준 의원이 이민 가시라"는 논평도 쏟아지고 있다.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도 안 의원에 대한 비난여론이 고조되면서 수백 회의 리트윗(재배포)이 이어지고 있다.
안 의원의 발언이 '야당을 지지하지 말라'는 직접적인 정치공세여서 야당의 반발은 당연하다. 하지만 안 의원이 자신과 생각이 다른 사람들을 인정하지 않는 증오의 정치를 양산하고 있고, 민주주의에 대한 소양이 부족하다는 근본적인 문제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더 높아지고 있다.
여기에 더해 안 의원이 '경남은행 분리매각 독자생존'을 부정적으로 바라본 데 대해서도 "도민과 지역 상공인들의 염원을 무시한 발언"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민주통합당 = 민주통합당 경남도당은 25일 기자회견을 열고 안 의원의 발언을 '망언'으로 규정했다. 도당은 "안 의원이 '(야당 찍으면 이민 가라는 말을) 동의하지 않은 사람들은 사업하는 것 놓고 그럴 각오 하시라'고 발언한 것은 이명박 정권의 민간 기업인 사찰처럼 기업인 테러를 예고한 것"이라며 "새누리당의 재집권에 동의하지 않는 기업가는 말할 것도 없고 전체 국민에 대한 협박"이라고 밝혔다.
또한 안 의원이 세계 경제위기와 저축은행 대규모 인출 사태 등을 언급하며 경남은행 일괄매각안을 언급한 데 대해서는 "세상 물정을 모르는 발언"이라고 비판했다.
경남도당은 "금융사의 과도한 팽창이 국가를 파산 상태로 몰고 세계 경제까지 마비시키고 있다"며 "경남은행 분리매각 요구에 대한 경남 지역 상공인과 경남도민의 열망을 알려 드리기 위해 지역신문 정기 구독권을 보내드릴 의향이 있다"고도 꼬집었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김성진 창원 마산합포구 위원장은 "안 의원이 마이크만 잡으면 사고를 친다는 게 정설화돼 있긴 하지만, 요즘 이민도 돈 없으면 못 가는데, 이번 발언은 해도 해도 너무 심했다"며 "스님들이 하안거에 들어가듯 100일 묵언 수행을 하든지, 자질 없음을 인정하고 사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통합당 중앙당 역시 논평을 냈다. 김현 대변인은 "분열과 증오의 정치로 어찌 선진국을 만들겠다는 것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며 "국민 앞에 사죄하고 국회의원직에서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통합진보당·진보신당 = 통합진보당 경남도당 역시 안 의원의 발언을 국민에 대한 협박이라 규정하고 공개 사과를 요구했다.
진보신당 연대회의 경남도당(준)은 '이민은 당신이 가시라'는 제목의 논평을 내고 "3선 국회의원을 하는 동안 오만방자함만 늘었다"며 "경남의 대표적인 다선의원이라는 것이 부끄럽고 한탄스럽다"고 밝혔다.
◇노동계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과 경남본부도 안 의원에게 공식 사과를 요청했다. 민주노총 경남본부는 안 의원이 '야권연대 공동정부가 되면 민주노총 출신이 노동부장관 되니 이민 갈 준비하라'고 발언한데 대해 "민주노총뿐 아니라 한국노총에 대한 모욕이기도 하다"며 "민주노총 출신이 노동부장관을 하지 말라는 법도 없지만 안 의원의 이 같은 발언은 민주노총에 대해 터무니없는 색깔론을 덮어씌우기 위한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고 밝혔다.
민주노총 경남본부는 "안 의원이 공개사과를 하지 않으면 끝까지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선관위 = 경남도선거관리위원회는 안홍준 의원의 발언이 직무상 범위를 벗어난 선거운동 위반 혐의가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창원시 마산회원구선관위를 통해 진의 파악에 나섰다.
◇안홍준 의원 해명 = 안 의원은 〈경남도민일보〉와 통화에서 문제의 '이민' 발언에 대해 "서울에 있는 한 기업인의 말을 인용한 것으로, 대중이 모인 장소가 아닌 상공위원들이 모인 자리에서 재미있게 강연을 하기 위함"이었다고 해명했다.
또한 경남은행의 독자생존을 부정적으로 내다본 발언에 대해서는 "인사권 독립 등의 독자 생존의 장점을 확보하면서 규모가 큰 지주회사의 보조를 받는 것도 최선의 방법일 수 있지 않겠느냐고 제안한 것"이라며 "전문가가 아니라서 확신 있게 한 이야기도 아니었고 제 짧은 소견을 함께 검토해보자는 취지"였다고 말했다.
또한 "뻔히 지역 상공인들 분위기를 아는데, 독자생존 반대 발언을 어느 누가 할 수 있겠느냐"며 "만약 독자 생존이 실패했을 때를 대비한 현실적 대안을 고민해보자는 것"이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