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오는 27일까지 우리금융 지주회사 일괄 매각을 위한 예비입찰 제안서를 접수하고 있는 가운데, 경남은행의 독자 생존을 바라는 발걸음도 바빠지고 있다. 경남도와 창원시를 포함해 경남과 울산 10개 상공회의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경남은행인수추진위원회는, 경남과 울산지역 여론 주도층 100인으로부터 경남은행의 독자 생존 민영화를 촉구하는 서명을 받아 금융 당국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외환위기 당시 정부 공적자금 수혜를 입은 후 2000년 우리금융지주에 편입된 경남은행은, 그동안 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에 발목이 잡혀 지방은행으로서 지역사회 공헌을 위한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었다는 것이 인수추진위의 판단이다. 경남은행의 경영 실적을 봐도 독자 생존 역량은 충분하다. 창원상의가 제공한 정부지원금 회수율 자료를 보면, 3528억 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된 경남은행은 2011년 상반기 기준으로 3177억 원이 회수되어 90.1%의 회수율을 보이고 있다. 이는 우리은행의 8조 7374억 투입 대비 46.7% 회수율이나, 경남은행과 더불어 독자 생존이 추진되는 지방은행인 광주은행의 50% 공적자금 회수율보다 갑절에 가까운 실적에 해당한다. 게다가 지난 3년간 경남은행의 배당총액은 800억 원이 넘는다.
집권 이후 이미 2차례나 우리금융지주 매각에 실패했으면서도 임기를 고작 7개월 남겨 둔 현 정부가 다시 매각에 나서는 것에 대해 무리라는 비판이 많다. 정부 뜻대로 경남은행이 우리금융지주에 끼워 팔려 초대형은행에 흡수되면, 그 이후 경남은행의 행보는 누구도 장담하지 못한다.
정부는 규모가 큰 은행일수록 국제 경쟁력을 키울 수 있다는 맹신에 사로잡혀 있지만, 2008년 리먼 브러더스 파산에서 촉발된 글로벌 금융위기는 덩치가 큰 금융기관이 오히려 위기에 취약하고 전체 경제에 연쇄적으로 미치는 악영향이 클 수 있다는 교훈을 주었다.
경남은행은 경남도민과 울산 지역민들의 관심과 지원으로 성장한 만큼 선분리 매각을 통한 향토기업으로 거듭나 도민들에게 보답하고 지역사회에 이익을 환원할 기회를 주어야 한다. 지역민이 키운 기업은 지역민에게 돌려주는 것이 순리이다. 정부는 금융위기 이후 세계적 흐름에도 거스르는 메가뱅크화 정책에 대한 집착을 버려야 한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