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22조라는 전대미문의 국비가 들어갔으며 시작부터 찬반으로 갈려 엄청난 사회적 물의를 일으켰던 낙동강 사업이 종료가 다 되어가는 현재까지 노출된 문제들이 해결되기는커녕 논란만 가중되고 있다. 사업을 진행한 주관사인 국토부와 수자원공사 측은 사업 정당성 차원에서 끝까지 잘한 사업이라고 우기느라 이미 드러난 문제에 대해서도 침소봉대하는 행태를 계속하고 있고 반대 측에서는 역시나 반대했던 논리, 즉 자연 상태의 강을 훼손한 것 자체가 잘못되었다는 관점에서 낙동강 사업과 관련하여 끊임없이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

다시 말해 찬성 쪽은 당장 홍수피해가 줄었으며 자전거 도로도 생기고 지역 관광명소로 활용할 수 있지 않으냐 하고 반대 측은 억지로 진행한 사업답게 온갖 문제가 불거지고 있으며 당장 올해 우기에 보가 견딜 수 있을까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현재 낙동강 사업은 마무리 단계에 있다. 그러나 반대 측 의견대로 강바닥 세굴현상과 보 균열 등 안전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드러난 것만 해도 문제이거니와 드러나지 않은 문제와 자연의 힘이 얼마나 파괴적인가 하는 국민의 경험치를 들자면 만사 불여튼튼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대들 말은 안 듣는 게 낫다는 식의 접근방식은 문제를 키울 뿐이다. 반대 측도 상대를 고려한 반대의 지혜가 미흡하지 않았는지 뒤돌아 보아야 한다. 목적이 원대하고 뚜렷하다면 그만큼 진정성을 갖고 끊임없이 상대를 설득하는 수고를 해야 한다.

낙동강 사업은 지금 강변여과수 개발로 주민 반발이 거세지는 등 새 국면을 맞고 있다. 기왕에 벌인 사업 제대로 마무리 되었으면 하는 국민의 여망도 더욱 강렬해지고 있다. 국민 생활과 안전에 밀접한 개발이라는 사업 성격상 이제는 모두 침착하게 문제의 본질을 보기바란다. 정권은 끝나도 국가는 지속해야 하고 후손에게 국토를 온전하게 물려줘야 할 책임이 어느 한쪽에만 있다고 생각하는 한 이 문제는 풀리지 않을 것이다.

국토부와 수자원공사는 대승적으로 자신들이 놓친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전제하에 모든 상황을 공개해야 한다. 그것이 문제해결의 첩경이다. 시민단체 또한 잘한 것은 잘했다고 칭찬하면서 모두가 승리할 수 있는 새로운 국면을 만들기를 요청한다. 그것이 진정 낙동강을 살리는 길일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