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67만5000여명의 재학생과 재수생들의 운명이 걸린 2003년도 대학수학능력고사도 끝났다. 거국적인 연례행사가 된 수능은 문제제기조차 않는 당연한 행사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대부분의 언론은 수능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기보다 서울대학 입학이 가능한 점수를 점치고 난이도 문제를 놓고 책임공방에 바쁘다.
비행기의 이착륙시간까지 조정하고 군 작전시간까지 변경하는 것이 우리나라의 수능시험이다. 우리나라 수능은 외국언론 특파원이 파견돼 취재경쟁을 벌일 만큼 구경거리가 됐다. 국어, 영어, 수학 점수로 취업이나 승진은 물론 사람의 가치까지 서열화하는 나라는 세계 어디에도 찾아볼 수 없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입시제도가 바뀌지만 달라진 것은 없다. 오히려 수험생이나 입시지도를 하는 학교의 혼란만 가중시켜 놓았다.
입시교육의 문제점은 천문학적인 사교육비뿐만 아니다. 일류대학의 입시전형이 중등학교의 교육과정까지 무시하는 파행적인 교육은 중단해야 한다. 지금은 노동과 자본이 아닌 정보와 지식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정보화시대다. 개성과 창의력이 국제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진리라는 것을 부인할 사람은 없다. 그러나 우리는 지식을 암기해 사람의 가치까지 서열을 매기는 시대변화에 역행하는 교육을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 사람됨됨이가 아닌 암기한 지식의 양으로 사람의 가치를 매기는 입시제도는 중단해야 한다. 수백 명의 승자를 위해 수십만 명이 고통을 주는 제도는 범죄행위나 다름없다. 이제 교육관료나 교육학자 그리고 언론은 이성을 찾아 입시문제의 원인을 찾아 대안을 제시해야 할 때다. 언제까지 ‘눈 가리고 아웅’하는 반이성적인 제도를 두고 구경만 할 것인가.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