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에는 지방(경남도·시·군)의원들의 첫 회기가 진행되고 있다. 7월 임시회에서는 주요업무계획보고를 집행부(지방자치단체·교육자치단체)로부터 듣고 일부 의회는 2018회계연도 추가경정예산안을 추가하여 다루고 있다. 지역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올해 선거를 통해 대다수 의회가 '초선 다수'가 되면서 질의 수준의 하향이 우려됐다.

일부 의회를 인터넷으로 상임위 시청을 하면서 느낀 것은 자료 하나 없이 단순 사실 확인이나 공무원의 느낌을 묻거나 단순 설명을 요구하는 질문이 가장 많았다. 상임위원회는 위원장이 상임위원인 의원을 호명할 때 '질의'하라고 하는 것의 뜻을 간과하면 안 된다. 질의(質疑)의 법률적인 뜻은 "국회 회의에서 의제가 되어 있는 의안이나 동의 등에 관하여 의원이 국무 위원, 정부 위원, 발의자 또는 제안자, 보고자에게 의문점을 따져 묻는 일"이다. 질의를 위해서는 사전 자료 요구와 자료 검토를 거친 뒤에 상임위원회에서 질의답변이 이뤄져야 한다.

공무원들의 정보(문서) 독점권에 대항하여 의원들이 상임위원회에서 담당 부서가 가지고 있는 수준의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동등한 수준의 질의가 가능하다.

한 원인을 따지자면 초선 의원들에게 문서에 접근하는 법에 대해 사전 교육이 되지 않은 점, 예산 용어 해설과 예산안 책자 보는 법 등이 교육되지 않은 데 연유한다. 원내에 진출한 각 정당이 의원들을 위한 사전(선거 전)·사후(선거 후) 교육을 하지 않은 데 있다. 초선 의원들에 대해 우려와 걱정을 하는 것은 대다수 의회의 다수로서 의회 내 경험이 부족한 데서 생기는 문제를 열정과 패기만으로 대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안일규.jpg

앞으로 언론도 의회에 대한 관심을 '상임위원회'에 두어야 한다. 굳이 수치를 제시하지 않아도 본회의에 대한 기사와 상임위원회에 대한 보도 횟수 차이가 큰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상임위원회는 예산안·결산안·조례안 등 수많은 의안을 다루는 곳이다.

시민들의 대표(의원)가 실제로 수많은 안건을 다루고 처리하는 의회 상임위원회를 언론이 다루지 않는 것은 의회의 모습을 절반 이상 다루지 않는 것이나 다름없다. 언론의 의회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취재를 요청하며 앞으로 더 나아진 지방의회를 기대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