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일어난 집중호우로 창원시 곳곳에서 산사태와 침수, 인명 사고가 발생한 것은 창원시가 수해에 얼마나 취약하고 방재 기능이 부실한 도시인지 입증해 주었다.

짧은 시간에 몰아치는 국지성 호우가 낳은 무서운 피해도 새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날 시간당 측정 강우량에서 창원시는 오후 1~2시 사이 최대 평균 52.1mm의 시우량을 기록했지만, 관내 최대 시우량은 마산합포구 진동면으로서 그 배에 달하는 106mm였다. 이 폭우는 진동면을 지나던 시내버스를 집어삼켜 인명 피해라는 참혹한 결과를 낳기도 했다. 창원시의 시가지 하수처리능력은 시우량 20mm로 알려져 있다.

창원시가 국토교통부로부터 재해 예방형 도시 계획 수립 대상 지역 중 한 곳으로 선정된 것은 지난 6월이다. 지난 10년간 재해 규모와 지자체의 의지 등이 고려된 결과다.

하지만, 이번 사태로 국토부의 평가가 무색해졌고 창원시 수해 방재 능력의 허점만 확인시키고 말았다. 배수 능력은 창원시의 도시 기능 중 가장 취약한 부분 중 하나다. 평소에도 시내 일대는 약한 비만 내려도 도로에 물이 넘쳐나 도보에 지장이 많은 곳이었다. 더 늦기 전에 방재 체제를 새롭게 다듬지 않으면 안 된다.

전문가들은 기상이변 현상이 갈수록 빈번해지는 우리나라에서 시간당 40mm 이상의 강우는 더 이상 '이변'이 아니라고 말한다. 그러나 지금의 수해 방재시스템은 연 단위 발생 빈도나 1일 강우량을 기준으로 함으로써, 국지성 호우 등이 빈발하고 있는 현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지금처럼 하루 6시간이나 12시간을 기준으로 삼는 호우주의보·경보만 하더라도, 불과 1~2시간 안에 집중적으로 쏟아진 이날 창원의 호우에는 손을 쓸 수 없다. 2011년 강원도는 큰 물난리를 겪자 방재 안전 기준을 재검토하고 상향 조정한 바 있다. 50~100년 단위인 강우 빈도를 100~200년 단위로 기준을 강화하여 변화하는 기후 환경에 대처하기도 했다.

방재 인프라 확보도 중요하다. 침수 예방을 위해 저류지, 방수로, 지하 하천 등의 확충이 필요하다. 더 늦기 전에 창원시는 방재 기준, 하수처리 대책 등 방재 시스템 구축 작업을 전면 재검토할 때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