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 40주년을 맞이한 창원 국가산업단지에서 기업들이 빠져나가는 소리가 자꾸 들리고 있다. 작년에도 몇몇 업체들이 공장 이전이나 자본 철수를 시도하다가 심각할 정도로 노조와 마찰을 일으킨 적이 있다. 얼마 전에는 창원의 우수한 기업들이 지역을 벗어나 다른 지역에 신규 투자를 하는 예도 나타나고 있다.

창원에서 업체들이 계속 기업을 키우지 못하고 자꾸 딴 동네를 기웃거리는 사정은 대개 비슷하다. 한 마디로 생산성이 외국이나 다른 지역에 비해 날로 떨어져 더는 창원 내에 머물 수 없다는 이야기다.

창원을 벗어나고자 하는 기업인들은 무엇보다 공장 터를 마련하기 어렵고 땅값이 너무 비싸다는 점을 제일 먼저 손꼽는다. 그리고 가까운 지자체로 옮기려 해도 마땅한 인력을 구하기가 어렵다는 말들을 많이 한다. 사실 기업인들이 이와 비슷한 애로를 토로한

지는 한참 전부터이니 문제는 훨씬 복잡한 연유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지가만 놓고 본다면 창원 국가산업단지나 인근 지역은 벌써 부지가 포화상태였고, 이미 다른 지역에 비해 시세가 훨씬 비싸다. 그러니 새로 증설을 하거나 신규 설립을 할 때 창원은 더는 매력적인 투자 대상이 아닐 수 있다. 기존에 가동하고 있는 공장들 경우에도 조금이라도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지역으로 이전하거나 투자를 고려하는 것이 경제논리 상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인력확보나 물류, 기업 간 연계 지원, 연구개발 지원, 각종 행정편의 지원 등을 고려하면 창원 지역에 머무는 것이 여전히 나을 수 있다. 또한 생산효율을 따질 때 노무비용이 들더라도 숙련된 기술 인력이 밀집된 창원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득이 될 수 있다.

기업 입장에서 유불리를 따지는 것은 언제나 당연한 일이요, 따라서 자본의 이동이나 이전 자체가 문제가 될 수는 없다. 차라리 산업구조의 변화와 글로벌 시장의 환경 변화를 예측하여 기업 하기에 좋은 지역으로 지속적인 혁신을 하는 것이 기업들을 붙잡기 좋을 것이다. 산업구조 고도화, 연구개발 역량 강화, 전문기술인력 양성, 클러스터 구축, 물류 혁신과 행정서비스 혁신, 그리고 노사 간의 사회적 타협 등 기업이 지역 사회에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계속 확충하는 데 힘을 쓴다면 떠나가는 기업도 돌아오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