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말고도 살고 있네요] 새박덩굴 이야기

야생초와 숲 해설에 관심을 갖고부터 내 집 드나들듯 누비고 다니던 경남수목원을 찾았습니다. 나무 한 그루 옮겨간 자리까지 기억이 날 정도로 생생한 길입니다. 사철나무 울타리에 조랑조랑 매달린 새박덩굴 무리를 보고 함성을 지르면 신기해했던 아이들의 모습이 떠오릅니다. 올해도 그 자리에 여전히 새박덩굴이 줄줄이 열려서 더 없이 반가웠습니다.

박과의 새박덩굴은 '새알모양의 박'처럼 생겼다고 붙은 이름인데, 박주가리나 하수오의 딴이름으로도 같이 불려서 많이 헷갈리기 쉽습니다. 사전에는 '박주가리·하수오의 다른 이름'이라고 명시되어 있어서 새박덩굴의 이름 매김이 난감하기도 합니다.

경남수목원에서 만난 새박덩굴. /박덕선

하지만 도감에 엄연히 '새박덩굴'이라는 이름으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박주가리나 하수오는 본 이름으로 불러주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여름에 하늘타리 잎처럼 무성한 덩굴을 지었다가 별모양의 작고 하얀 꽃이 핀 자리에 새알보다 작은 초록색 열매가 조랑조랑 달려서 가을이 되면 회백색 박의 색깔로 익습니다. 산외나 돌외·뚜껑덩굴 등과 같이 덩굴져 작은 열매들을 다는 식물입니다.

열매 안에는 수 백 개의 까만 씨가 가득 있는데 겨울나는 새들의 좋은 먹이가 됩니다. 겨울에 덤불이나 울타리에 참새나 직박구리 같은 새들이 떼 지어 노는 큰 이유가 바로 여름에 덤불졌던 덩굴성 식물의 씨앗들이 모여 있기 때문입니다.

한해살이 덩굴풀인 이 새박덩굴은 주로 민가 근처 울타리에 잘 자라지만 그리 흔한 식물은 아닙니다. 특정 지역에서 간혹 보이지만 아무 곳에서나 볼 수 있는 풀이 아니라 다니다가 만나면 작고 앙증맞은 열매 앞에 발걸음을 멈추게 되는데요. 덩굴이나 전초는 약용에 사용했다는 흔적이 별로 없으나 그 뿌리는 관절염·사지마비·근육경련에 효과가 있다고 나와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인후염·결막염·유선염 등의 종기에 소염제로 쓰기도 한답니다.

   
 

걷기 좋은 계절입니다. 느긋한 마음으로 쉼 없이 걷다보면 마음이 정돈되고 얼크러졌던 생각도 정리가 되며 여유를 찾게 됩니다. 풀잎에 내리는 빛살이 고운 이 가을날에 수목원 산책길을 돌며 한나절 걸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지루한 더위 끝에 불어주는 가을바람이 더 감사한 이유도 이 느림의 시간이 가져다 준 선물이겠지요.

/박덕선(경남환경교육문화센터 운영위원장)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