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를 다 배우고 학년말 성적처리까지 끝난 2월 개학은 변화를 거부하는 학교모습의 전형이다. 일주일 남짓 출석일수를 채우고 다시 방학을 할 바에야 방학, 개학, 다시 봄방학으로 이어지는 비효율적인 과정을 반복할 이유가 없다. 교사들이야 학년말 사무처리와 인사이동으로 부산하겠지만 학생들에게는 출석일수를 채우는 것 외에는 별 다른 의미가 없다.
학기제를 바꿔야 한다는 주장은 어제오늘 나온 얘기가 아니다. 효율성과 국제경쟁력을 말하면서 초·중등학생에게 무려 2개월이 넘는 공백은 개인은 물론 국가적인 손실이다. 급변하는 사회변화에 학교만 문을 닫고 변화를 거부한다는 것은 국제사회에서 경쟁력을 상실하게 된다. 더구나 올해는 7차교육과정의 완성연도로서 수요자중심의 교육이 고등학교 전학년에 도입되는 해이기도 하다. 수요자중심의 교육은 교과목 몇 개를 학생이 선택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말로는 수요자중심의 교육이라면서 학생들 입장에서 면학분위기조성도, 시간의 효율성도 없는 모순된 학기제가 반세기 넘게 반복한다는 것은 용납할 수 없는 일이다.
3월에 시작해 2월에 끝나는 학기제는 바뀌어야 한다. 2월 개학은 설 연휴와 겹치기도 하고 졸업식, 종업식과 겹친다는 점에서 수업의 연속성이나 누적성, 효과성 원칙에도 어긋난다. 또 2월은 혹한기여서 난방장치도 없는 교실에 학생들을 불러 시간을 때우는 것은 인도적인 차원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회계연도는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면서 학교의 학년도는 해를 넘긴 다음 해 2월말로 되어 있다는 것은 예산의 수립, 집행, 결산에 많은 불편이 있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일제시대 3학기제의 유산인 2월 개학과 봄방학으로 이어지는 문제투성이 학기제는 반드시 고쳐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