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은 대한민국 민주주의 역사를 기리고자 서울·광주 그리고 창원에 세워졌다.
창원은 1960년 3.15의거, 1979년 10.18 부마항쟁, 1987년 민주화 대투쟁의 주된 현장인 점을 평가해 민주주의 전당을 유치했다. 서울에는 민주화운동 열사들의 신음과 피가 얼룩진 남영동 대공분실에 민주화운동기념관을 세웠고, 광주에는 5.18 민주화운동 기록관과 5.18기념문화센터를 운영해 교육과 전시 공간으로 운영하고 있다. 민주주의전당은 창원지역 민주주의 역사를 기리는 자료·전시·교육 공간으로는 유일하다.
그러나 사업 주체인 창원시는 민주주의전당을 주민들의 문화복합공간으로 치부하고, 건축과 공간 배치, 운용계획을 마련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가 보조금 사업 목적을 훼손한 것이다.
이를 사전에 알고 있는 창원시의회도 일부 의원을 제외하고는 사실상 동조했다. 지난해 11월 27일 창원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에서 이해련 의원이 "추진 방향을 보고 깜짝놀랐다. 시민과 함께 즐길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 이게 맞느냐?"고 한탄한 것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이의 제기가 없었다.
17일 민주주의전당 건물 운영을 점검한 민주화운동 단체들은 "이곳에 민주주의전당을 세워야 하는 당위성이 전혀 없고,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창원시는 아직도 국고 사업의 목적을 훼손한 점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현재 상황에서는 창원시가 민주주의전당 건립 목적을 훼손한 점을 근거로 감사원·행정안전부·경남도 감사를 청구하고, 사업 목적을 훼손한 공무원·관련 위원회 그리고 이를 방치한 시의회에 대해서도 조사를 해야 한다. 시민들이 할 수 있는 청원과 민원 등 모든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
결국, 민주주의는 시민이 지켜야 하고, 이를 방해 묵인하는 자들은 시민의 이름으로 처벌해야 한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