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임은 문현철 대검찰청 인권정책관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와 민간인 명태균 씨 공천 개입 의혹 등 수사를 지휘했던 정유미 창원지방검찰청장이 법무부 공무원 교육기관인 법무연수원으로 자리를 옮긴다.
25일 발표된 법무부 대검찰청 검사급(검사장급) 신규·전보 인사에서 정 지검장은 법무연수원 연구위원으로 전보됐다. 29일 자 발령이며, 후임으로 문현철 대검찰청 인권정책관이 신규 보임됐다.
법무연수원은 법무부 공무원 교육기관으로 검사장급인 연구위원 역할은 법무행정 조사·연구지만 안팎에선 다소 ‘조용한’ 자리로 분류한다. 검찰 수사 대상이나 승진 누락 간부가 옮겨지는 자리로 인식돼서다.
윤석열 정부 때 중용돼 ‘검찰 조직론자’로 분류되는 정 지검장은 윤 전 대통령 부부와 명 씨 공천 개입 등 의혹 수사를 뭉갰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검사 없는 수사과에 사건을 배당하거나 윤 전 대통령 부부는 겨냥하지 못한 채 겉돌아서다.
창원지검은 공천개입 의혹을 비롯한 숱한 의혹을 밝히지 못한 채 결국 서울중앙지방검찰청으로 넘겼다. 현재 김건희 특검이 공을 이어받은 상태다. 특검 수사 방향에 따라 창원지검 수사도 도마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정 지검장과 함께 법무연수원 연구위원으로 자리를 옮긴 간부 모두 윤 전 대통령 때 중용됐다는 평가를 받는 인물들이다. 정 지검장과 같은 사법연수원 30기 이영림 춘천지검장은 윤 전 대통령 탄핵 심판 때 내부망에 글을 올려 논란을 일으켰다. 헌법재판관을 안중근 의사를 재판한 일본 재판부와 비교하며 비판해서다. 허정 대검 과학수사부장은 윤 정부 때인 지난해 5월 검사장으로 승진했고, 같은 시기 승진한 박영진 전주지검장은 문재인 전 대통령 뇌물수수 의혹 수사를 지휘했다.
문현철 신임 창원지검장은 지난해 8월 심우정 검찰총장 후보자 인사청문회 준비단에서 정책팀장을 맡은 바 있다.
법무부는 이번 인사가 정성호 장관 취임 이후 조직을 쇄신하고 검찰개혁을 안정적으로 추진하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검사장급 인사 이후 중간간부 인사도 대규모 물갈이가 예상되는 배경이다.
/최환석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