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택 건설업계 16일 관계기관 협의회
3분기까지 미분양 물량 당분간 확대할 전망
"미분양 해소 정부 지원, LH 매입 확대 필요"
경남지역 미분양 아파트 2월 기준 5088호

경남지역 주택 관련 건설업계는 미분양 물량이 당분간 증가한다고 내다보고 미분양 아파트 줄이기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정부의 적극적인 세제 혜택 등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경남도는 16일 도청에서 관계기관 협의회를 열었다. 대한주택건설협회 울산경남도회, 대한건축사협회 경남건축사회, 한국공인중개사협회 경남도회, 한국토지주택공사(LH) 경남지역본부, 경남개발공사, 창원시 등 도내 8개 시군 주택 관련 부서장이 모여 도내 주택시장 전망을 공유했다.

경남도와 경남지역 주택 관련 건설업계 등은 16일 도청에서 도내 주택시장 전망을 공유하고 미분양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경남도
경남도와 경남지역 주택 관련 건설업계 등은 16일 도청에서 도내 주택시장 전망을 공유하고 미분양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경남도

경남지역 주택시장에서 전월세는 수요와 공급이 어느 정도 맞으면서 거래량이 늘고 있다. 하지만 매매는 공급이 수요보다 높은 상황이고, 그동안 건설업체마다 미뤄 왔던 청약·준공 물량을 2분기·3분기에 공급할 예정이어서 미분양 물량은 당분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도내 시군마다 미분양을 없애고자 인허가 물량을 조절하고 있다. 또 김해시는 일부 단지를 임대분양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지역에서 미분양 아파트를 해결하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정부에 지역 미분양 해소를 위한 세제 혜택 등을 건의해야 한다고 했다. 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사들이는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주택 매입물량을 3000호에서 5000호로 확대하고 장기 미분양 주택을 우선 사 등 매입 기준을 유연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한국토지주택공사는 이달부터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3000호를 감정평가액 83%보다 낮게 사들이고자 신청을 받고 있다. 매입 대상 주택은 입주자 모집공고를 마치고 사용검사를 한 수도권 이외 지역 미분양 아파트다. 매입규모는 최소 20호 이상으로 면적은 전용면적 기준 50㎡ 이상 85㎡ 이하다. 매입 가격은 한국토지주택공사 산정가격을 기준으로 민간업체가 제시한 매도 희망가격으로 결정한다. 감정가격보다 더 저렴한 주택부터 차례로 사들일 예정이다.

2024년 12월 기준 경남지역 미분양 주택은 5347호를 기록했다. 
2024년 12월 기준 경남지역 미분양 주택은 5347호를 기록했다. 

경남도는 앞서 지난 15일 대구에서 부산·울산·경북도와 주택시장 침체 관련 대책회의를 열고, 정부에 세금감면·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완화 등을 공동 건의하기로 했다.

경남지역 미분양 아파트는 2월 기준 5088호다. △창원 1352호 △김해 1265호 △사천 486호 △거제 467호 △양산 445호 등이다. 또 집을 다 짓고도 주인을 찾지 못하는 준공 후 미분양은 2459호다. 도내 시군 가운데 창원지역이 784호로 가장 많다.

/이미지 기자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