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경남지역본부 9일 성명
3.15의거 정신 배치 세력들 규탄
"사퇴 이어 공식 사과 입장 내야"

경남대학교 학생들이 1980년 봄 마산지역에서 전두환 신군부 비상계엄령에 반대하며 시위하고 있다. /경남대
경남대학교 학생들이 1980년 봄 마산지역에서 전두환 신군부 비상계엄령에 반대하며 시위하고 있다. /경남대

경남 노동계가 내란 우두머리 피의자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부당성을 주장하는 3.15의거 단체 임원들을 규탄했다. 이와 함께 3.15의거 정신과 배치되는 3.15의거학생동지회·3.15의거기념사업회 일부 임원 사퇴와 공식 사과를 관련 단체에 요구했다. 

민주노총 경남지역본부는 9일 오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성명을 냈다. 단체는 성명에서 이우태 3.15의거학생동지회장과 3.15의거기념사업회 일부 이사가 3.15의거 정신을 훼손하고 거스르는 망발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경남도민일보> 보도로 관련 임원들의 대통령 파면 관련 견해가 알려지고 나서 나온 반응이다.

민주노총 경남본부는 “이우태 회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자유민주주의를 지키려고 굉장히 애를 많이 썼고 국가원수로서 계엄령을 충분히 내릴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며 “지난 계엄으로 군인에게 두들겨 맞아 다친 시민도 없었고, 모든 것이 질서정연하게 이뤄진 끝에 계엄이 마무리되었기에 계엄 선포가 파면에 이를 정도로 중대한 문제도 아니며, 민주주의를 후퇴시킨 적도 없다는 주장도 편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3.15의거기념사업회의 일부 이사진을 향해서는 “계엄군이 국민을 향해 총구를 겨누지도 않았고, 국회 의결을 막지도 않았으며, 자유민주주의가 후퇴하지 않게 하려고 한 것이라는 주장까지 서슴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민주노총 경남본부는 “3.15의거기념사업회를 비롯해 3.15의거 학생동지회는 1960년 독재정권에 항거해 거리에서 민주주의를 외친 사람들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느냐”며 “3.15 단체들은 3.15정신을 훼손하고 망발을 쏟아낸 임원들을 즉각 사퇴시켜야 한다. 더불어 도민에게 사과하고, 3.15정신을 제대로 이어 나갈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관련 단체들은 말을 아끼고 있다. 논란 당사자인 이우태 3.15의거학생동지회장은 공식 견해를 내지 않고 있다. 주임환 3.15의거기념사업회장은 “이사진 교체를 시도하면 단체가 갈라질 수 있으므로 교체는 어렵다”면서 “3.15 선두 단체인 만큼 더 노력해서 방향성을 잘 잡고 나가겠다”고 말했다.

/최석환 기자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