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수사본부 작전 개시 5시 30분 만에
박대출·이종욱·박상웅·정점식 체포 막아
사다리로 담 넘어 진입…큰 저항은 없어
공수처, 48시간 조사 후 구속 여부 결정

반헌법적·불법적 비상계엄으로 군대와 경찰을 동원해 헌법기관인 국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침탈하고 국민에게 총부리를 겨눈 '내란 피의자'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오전 10시 33분 공조수사본부에 체포됐다. 현직 대통령이 수사기관에 체포된 것은 헌정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 35분 관저를 나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청사가 있는 정부과천청사로 향했다. 공조수사본부가 체포영장 재집행을 시도한지 5시간 30분 만이다. 윤 대통령은 10시 53분께 공수처 청사에 도착해 본격적인 수사를 받게 됐다.

공수처는 8일 법원으로부터 윤 대통령 2차 체포영장을 발부받았다. 오전 5시 체포 작전을 시작한 공조수사본부는 윤 대통령 지지자와 변호인단, 국민의힘 국회의원 등에 막혀 오전 8시쯤 관저 안으로 들어갔다. 2차, 3차 저지선을 큰 저항없이 통과한 이들은 그러나 영장 집행 방식을 두고 변호인단 등과 '합의점'을 찾는데 오랜 시간을 소요했다.

 

윤석열 대통령 2차 체포영장 집행이 실시된 15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위치한 경기도 과천시 정부과천청사에 경계가 강화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2차 체포영장 집행이 실시된 15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위치한 경기도 과천시 정부과천청사에 경계가 강화되고 있다. /연합뉴스

공수처는 법원이 발부한 체포영장 집행에 따른 적법한 체포라는 점을 명확히 밝혔지만, 윤 대통령 측은 자진 출석 형태를 취하겠다는 의사를 고수했다. 이에 내용은 체포지만 형식은 자진 출석에 준해 대통령 경호차량과 경호처 호위를 받으며 공수처 청사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영장이 집행됐다.

윤 대통령 영장 집행이 5시간 30분이나 걸린 건 1차로는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 바리케이트를 사이에 둔 공수처와 윤 대통령 변호인단·경호처 측 대치에서 비롯했다. 공수처와 경찰이 체포영장을 제시하자 윤 대통령 변호인단은 "불법 영장 집행"이라고 맞서 2시간 넘게 대치했다.. 국민의힘 국회의원들도 여기에 합세했다. 관저를 찾은 국민의힘 의원은 김기현·나경원·윤상현·윤영석·서천호·조배숙·박대출·김석기·김정재·이만희·이철규·정점식·이상휘·조지연·이종욱·강승규·박성민·구자근·이인선·유상범·김위상·박상웅·김선교·박수영·정동만·강명구·조배숙·성일종·정희용·권영진·장동혁·김장겸 의원 등 30여 명이었다. 이들 중 박대출(진주 갑)·정점식(통영고성)·이종욱(창원 진해)·박상웅(밀양의령함안창녕)·윤영석(양산 갑)·서천호(사천남해하동) 의원은 경남에 지역구를 두고 있다.

공조수사본부는 결국 관저 입구에서 사다리를 이용해 진입을 시도했고, 오전 7시 30분께 인력 수십병이 1차 저지선인 바리케이드를 넘어 관저 진입에 성공했다. 이후에는 2차, 3차 저지선도 통과했다. 오전 7시 57분께 공수처 검사 등 관계자 일부가 영장집행을 협의하고자 윤 대통령 측 윤갑근 변호사 등과 관저 안으로 들어갔다.

 

윤석열 대통령 2차 체포영장 집행이 실시된 15일 경기도 과천시 정부과천청사 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앞에 포토라인이 설치돼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2차 체포영장 집행이 실시된 15일 경기도 과천시 정부과천청사 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앞에 포토라인이 설치돼 있다. /연합뉴스

이후 2차적으로 체포 방식과 예우 등을 협의하면서 또 2시간이 넘게 시간이 지체됐다. 이 과정에서 윤 대통령이 관저 입구에 있는 국회의원들을 관저 안으로 들여보내라는 지시도 해 논란이 일었다. 체포를 막을 방탄 목적이 아니었느냐는 의구심이 피어나는 대목이었다. 윤상현 의원 등 몇몇 의원들이 관저 내부도 들어갔으나 영장 집행을 막지는 못 했다. 긴 시간 협의 끝에 윤 대통령이 경찰 호송차에 타지 않고 자신이 이용하던 캐딜락 경호 차량 등에 탑승해 공수처 청사로 이동하는 형식으로 합의가 이뤄졌다.

윤 대통령은 국헌 문란 목적의 폭동을 일으킨 내란 우두머리 및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과 경찰, 공수처가 각각 수사에 착수한 뒤 윤 대통령의 지시로 내란에 가담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여인형 국군방첩사령관, 이진우 수도방위사령관이 내란 중요임무종사 혐의 등으로 이미 구속돼 재판에 넘겨진 상태다.

검찰과 경찰, 공수처가 각각 수사에 착수한 뒤 윤 대통령의 지시로 내란에 가담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여인형 국군방첩사령관, 이진우 수도방위사령관이 내란 중요임무종사 혐의 등으로 이미 구속돼 재판에 넘겨진 상태다.

공수처는 48시간 동안 조사를 거쳐 윤 대통령 구속영장 청구 여부 결정하게 된다. 윤 대통령 내란 혐의 관련 질문지만 A4 용지 200장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두천 기자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