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내년에 밀양 중심 수종 전환 방제 시행
130㏊ 추진…산림재해 줄이고 방제 예산 절감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32만 5000그루 벌목 예정

소나무재선충병이 심각한 밀양을 중심으로 경남지역 130㏊ 규모 산림에 수종 전환 방제가 이뤄진다. 경남도는 24일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방지 특별대책’을 내고 소나무류 밀도가 높고 재선충병 피해가 반복해 발생하는 산림을 소나무류 외 다른 수종으로 바꾸겠다고 밝혔다. 

밀양시 삼랑진읍 우곡리 염동마을 한 소나무가 재선충병에 걸려 발갛게 말라 죽었다. /김구연 기자
밀양시 삼랑진읍 우곡리 염동마을 한 소나무가 재선충병에 걸려 발갛게 말라 죽었다. /김구연 기자

도는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기간인 이달부터 내년 3월까지 피해를 본 나무 32만 5000그루를 벌목할 계획이다.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4월까지 소나무재선충병에 걸렸거나 피해가 우려되는 나무 36만 1776그루를 벌목했고, 2022년 10월부터 지난해 4월까지 41만 1856그루를 벴다.

도내에서 밀양지역은 심각하다. 밀양 남포동·용평동·활성동·가곡동·부북면·무안면·상남면·초동면·하남읍·삼랑진읍 10개 읍면동은 ‘소나무재선충병 특별방제구역’으로 지정됐다.

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 상반기까지 타 시군과 맞닿아 있는 산내, 단장, 상동, 청도, 무안 등 피해 외곽지역에 있는 10만 8000그루를 압축방제(초입부인 선단지를 집중 방제)했다. 상동면 고정리(71㏊)·상남면 동산리(63㏊) 일원은 솎아베기, 무안면 운정리(8.9㏊) 일원은 소나무류 베기를 했다.

시는 주요 도로변과 KTX 노선 주변을 집중적으로 방제하고 초동면 오방리, 삼랑진읍 삼랑리 등 총 60㏊ 산림에 수종 전환 사업을 할 계획이다. 산림청은 22일에 밀양시 산불대응센터에서 수종 전환 사업설명회를 열고 산주가 원하는 수종을 선택하면 대체 수목 조림비용과 파쇄·대용량 훈증 등 방제비용을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수종 전환 사업은 민간 자본을 투입해 원목생산업자와 산주 간 계약으로 사업이 추진되기 때문에 산주 동의가 필요하다.

민기식 도 환경산림국장은 “밀양을 포함한 4개 시군 집단 피해지역은 소나무 대신 다른 수종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산불과 병해충에 강한 나무를 심어 산림재해 위험을 줄이고 방제사업비를 절감하겠다”며 “도는 한정된 예산을 효율적으로 쓰고자 내년 수종 전환 면적을 130㏊로 시작해 2026년 300㏊ 등 연차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도는 수종 전환 사업에 예산 4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도는 21일부터 시군 책임담당제를 운영하며 방제 품질을 높이고 주요 피해지역을 주기적으로 점검해 재선충병 확산을 방지할 계획이다. 그러면서 정부 차원 대책을 지속적으로 건의할 방침이다. 도는 30일 행정안전부 차관과 만나 재난안전특별교부세 지원과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건의할 계획이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18일 윤석열 대통령과 만난 자리에서 기후변화로 매개충 활동 범위가 넓어져 소나무재선충병이 급격히 확산한다며 국가 차원 대응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이미지 기자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