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붉은색 고사목 제거정책에서 발병지 군락 집단방제로

소나무재선충 방제 정책이 전환될 전망이다. 

정부는 지금까지 붉은색 고사목 벌목 중심의 소나무재선충 방제 정책에서 발병 상태의 푸른색 소나무 일대 전체를 베어내는 수종 전환 정책을 도입했다.

산림청과 경남도, 밀양시는 22일 밀양시청에서 '소나무재선충병 수종 전환 방제 주민설명회'를 열었다. 

소나무 밀도가 높고 재선충 피해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밀양시와 대구시, 경북 경주·포항·안동·고령·성주 등 7개 특별방제구역에 대해 수종 전환 정책을 도입하겠다는 것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부족한 정부 예산 문제로 앞으로는 효율적 방제 방안이 절실하다"면서 "재선충에 감염돼 이미 죽은 붉은색 소나무를 베어내는 기존 정책을 병행하고, 밀양처럼 심한 곳은 아직 죽지 않은 푸른색 감염목이 모여있는 군락을 집단적으로 벌목하고 수종을 전환시키려고 한다"고 밝혔다. 

산림청과 경남도, 밀양시가 22일 밀양시청에서 '소나무재선충병 수종전환 방제 주민설명회'를 열었다. /이일균 기자
산림청과 경남도, 밀양시가 22일 밀양시청에서 '소나무재선충병 수종전환 방제 주민설명회'를 열었다. /이일균 기자

이 관계자는 "지자체가 산주에게 방제 명령을 하면 산주와 원목생산업자가 전환 수종 등에 대한 계약을 하고, 이후 소나무 모두베기 방제를 시행한다. 방제 비용과 이후 5년간 조림은 지자체가 담당한다"고 설명했다. 

소나무재선충 방제정책이 전환되는 것이냐는 물음에 이 관계자는 "개별 방제가 가능한 지역은 지금처럼 하고, 재선충이 심한 전국 7개 지역은 수종전환 정책을 편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2018년에 소나무재선충 특별방제구역으로 지정된 밀양시는 8월 기준으로 무안면·상남면·삼랑진읍 등 전체 8685㏊에 소나무 고사목이 14만4000그루에 이른다. 경남 전체 고사목은 45만여 그루다.  

산림청과 경남도, 밀양시는 22일 밀양시청에서 '소나무재선충병 수종전환 방제 주민설명회'를 열었다. 사진은 행사에서 제시된 밀양시 특별방제구역 지정지.  /이일균 기자
산림청과 경남도, 밀양시는 22일 밀양시청에서 '소나무재선충병 수종전환 방제 주민설명회'를 열었다. 사진은 행사에서 제시된 밀양시 특별방제구역 지정지. /이일균 기자

밀양시 산주와 한국원목생산연합회 회원, 마을 이장 등 참석한 주민들은 "수종을 전환하면 수종은 어떻게 정하는가", "방제와 이후 조림, 관리에 드는 비용은 누가 부담하나", "수종전환이 이뤄진 사례는 있는가" 등을 물었다. 

산림청 등 관계자들은 "수종은 산주들이 결정한다", "방제와 이후 5년 간 관리 경비는 모두 정부와 지자체가 부담한다", "올 하반기부터 시행되는 정책이라 아직 사례는 없다. 하지만 다른 경로의 수종전환 사례는 많다"고 답했다. 

/이일균 기자 iglee@idomin.com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