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오후 경남도청에서 낙동강네트워크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정종엽 기자
20일 오후 경남도청에서 낙동강네트워크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정종엽 기자

정부가 추진하는 국가녹조대응센터를 바라보는 지역 내 시선이 곱지 않다.

낙동강네트워크는 20일 오후 경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낙동강 수문 개방을 하면 녹조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며 “경남도와 환경부는 국가녹조대응센터 건립 추진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경남도는 지난해 4월 환경부에 국가녹조대응센터 건립을 건의했다. 환경부는 2개월 뒤 국가녹조대응센터 건립을 공식화하고 창녕군에 연구시설 등을 세워 부처별 녹조 대응 업무를 한곳에 모으기로 했다. 하지만 국가 녹조대응 전담기관 설립을 위한 ‘물환경보전법 개정안’이 21대 국회에서 처리되지 않으면서 센터 설립은 무산됐다. 경남도는 지난 14일 경남지역 국회의원 보좌진 정책간담회에서 ‘국가녹조대응센터’ 설립 재추진 의사를 밝혔다.

환경단체는 국가녹조대응센터 설치가 녹조 발생을 막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강호열 낙동강네트워크 공동대표는 “낙동강이 발원지에서 출발한 물은 7일 만에 남해로 갔는데 지금은 100일이 지나야 도달한다”며 “물순환의 정체가 녹조 발생의 가장 큰 핵심 원인이다. 보를 개방해 강 흐름을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곽상수 낙동강네트워크 공동대표는 “정부는 2023년부터 취·양수장 개선에 관한 예산을 투입하지 않았다”며 “발생한 녹조를 관리하는 정책이 아닌 녹조를 없애는 정책을 펼쳐라”고 촉구했다.

낙동강네트워크는 “민주당과 진보당은 보 개방과 취·양수장 개선 등 안전한 물관리 정책을 펼치겠다고 약속했다”며 “녹조대응센터 건립을 백지화하고 국민과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종엽 기자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