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직접 브리핑해 발표
"대통령실, 내각, 국회 소통 적임자"
친일 막말, 노무현 명예훼손 전력에
김웅 국민의힘 의원 "국민 명령 외면"
야권 "국민 통합에 도움 안 될 인물"

윤석열 대통령이 22일 새 비서실장에 5선 중진 정진석 국민의힘 의원을 임명했다. 야권은 물론 여권 내부에서도 ‘총선 민심과 동떨어지는 인사’라는 비판이 나온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 30분 용산 대통령실에서 직접 브리핑을 열고 “정진석 의원은 한국일보에서 15년간 기자로 근무하고 5선 국회의원에 청와대 정무수석을 비롯해 당에서도 비상대책위원장과 공천관리위원장, 국회부의장, 국회 사무총장 등을 맡았다”며 “정계에 여야 두루 원만한 관계를 갖고 있어 비서실장으로 용산 참모진뿐만 아니라 내각, 여당, 야당, 또 언론과 시민사회 모든 부분에 원만한 소통을 함으로써 직무를 아주 잘 수행해 주실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22대 총선에서 낙선했다.

정 의원은 “여소야대 정국 상황이 염려되고 난맥이 예상된다”며 “이 어려운 시점에 윤석열 정부를 돕고, 또 대통령을 도와야 한다는 것이 저의 책임이라고 느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과 친구처럼 지내는 그는 국민 정서와 동떨어지는 각종 설화로 물의를 빚기도 했다. 2022년 대선 당시 재판을 받고 있던 윤 대통령 장모 최은순 씨 문제가 부각되자 “윤 전 총장이 ‘내 장모가 사기를 당한 적은 있어도 누구한테 10원 한 장 피해 준 적이 없다’고 말했다”고 발언했다. 이후 ‘10원 한 장’ 발언 논란에 정 의원은 “사석에서 편하게 한 얘기가 와전됐다”고 해명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인사브리핑에서 신임 대통령 비서실장으로 임명된 국민의힘 정진석 의원을 소개한 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의 영수회담 등 현안 관련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인사브리핑에서 신임 대통령 비서실장으로 임명된 국민의힘 정진석 의원을 소개한 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의 영수회담 등 현안 관련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선 이후에는 “조선은 안에서 썩어 문드러졌고, 그래서 망했다. 일본은 조선왕조와 전쟁을 한 적이 없다”고 말해 ‘친일 사대주의’, ‘식민 사관’ 논란을 불렀다. 또 노무현 전 대통령 사자명예훼손 혐의로 지난해 1심에서 징역 6개월 실형도 선고받았다.

이 같은 정 의원 비서실장 임명을 두고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권은 물론 여권에서도 강도 높은 비판이 나왔다.

김웅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누리소통망(SNS)에 “지난 2년처럼 일방통행을 고집하겠다는 대국민 선전포고”라며 “한때나마 변화를 기대한 내가 미련했다”고 적었다. 그는 “우리 당이 무너지게 된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전당대회로 뽑힌 당 대표를 대통령 지시로 내쫓은 것과 당심 100%로 전당대회 규칙을 급조해 대통령 사당으로 만든 것”이라며 “그 두 가지를 모두 주도한 사람이 바로 정진석”이라고 비판했다.

한민수 민주당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불통 국정을 전환하라는 국민 명령을 외면한 인사라는 점에서 매우 실망스럽다”면서 “정 의원은 친윤 핵심인사로 그동안 국민의힘이 용산 대통령실 거수기로 전락하도록 만든 장본인 중 한 사람”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친윤계 빼고는 쓸 인물이 없느냐”고 비판했다.

이어 정 의원 역사관 논란과 노 전 대통령 사자명예훼손 혐의 실형 선고 등도 거론하며 “협치 대신 정쟁을 촉발할 인물”, “국민 통합에도 하등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 대변인은 “이런 인물을 대통령실 비서실장으로 세우고도 국정 전환과 여야 협치에 나서겠다는 건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

김보협 조국혁신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총선 성적표를 받아들고서 국정운영 실패에 작지 않은 책임이 있는 정 의원을 다시 중책에 기용하는 걸 보니 참 딱하다는 생각이 든다. 윤 대통령 주변과 국민의힘에는 그렇게 사람이 없느냐. 민심을 국정 운영에 반영하는 데에 도움될 만한 사람을 다시 찾아보라”고 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도 국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저는 ‘당심 100%’ 전당대회 규칙을 밀어붙인 사람이 이 정부 실패에 굉장히 큰 책임을 갖고 있다고 본다”며 “그런 사리 판단마저도 안 되는, 당심과 민심이 괴리돼 있다는 판단마저도 못한 사람이 비서실장이 되면 똑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김두천 기자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