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모듈원자로 개발, 사업화, 수출체계 구축 목표
산학협력지구 기반...창원 원자력 국가산단 조속 추진
한국원자력연구원 분원 유치 등 정부 공모 진행돼야
경남도는 소형모듈원자로(SMR) 산학협력지구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2일 도청에서 열린 민생토론회에서 원전산업 육성 법제화를 밝히며 “경남을 SMR 클러스터로 육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도 산업국은 28일 정부 원전산업 육성 대응 방안을 발표하며 소형모듈원자로 개발과 사업화, 조립 생산·수출체계를 위한 산학협력지구 육성에 행정력을 모으겠다고 밝혔다.
도는 먼저 기반을 마련하고자 창원 방위·원자력 융합 국가산업단지를 조속히 추진할 계획이다. 창원시 의창구 북면 일대(340만㎡)는 지난해 3월 신규 국가산단 후보지로 선정됐다. 도와 창원시는 본지정을 위한 행정절차를 밟고 있다. 올해 하반기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사업 시행이 적합하다고 나오면 내년 9월까지 산업단지계획을 마련해 정부에 승인 신청을 할 계획이다. 도는 2026년 상반기 승인, 하반기 착공을 목표로 잡았다. 산단 조성에는 5년 정도가 걸린다.
도는 원전산업 거점 기능을 수행할 경남 원자력산업 종합지원센터를 경남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전 진해연구자유지역)에 지을 계획이다. 2026년까지 총사업비 160억 원(국비 64억 원)을 투입한다. 원자력산업과 경남 에너지산업 발전 전략 수립, 소형모듈원전 첨단제조기술 지원·수주 동향 파악 등 기능을 담당한다. 도는 한국원자력연구원 분원, 글로벌 소형모듈원자로 연구개발센터도 유치할 계획이다.
인력 양성을 위해 한국원자력대학원대학교와 교류를 확대하고 창원대가 준비하는 글로컬 대학과 연계할 방침이다. 창원대는 창원과학기술원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도는 연구개발 분야에서 원전산업 신성장 미래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반영을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정부가 전국 2곳에 지정할 소형모듈원자로 제작지원센터 구축 사업을 유치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박완수 도지사는 지난 22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만나 이 같은 내용을 건의했다.
도는 기업이 기술개발, 사업화, 판로개척을 할 수 있도록 원전기업 신속지원센터를 운영하며 수요 맞춤형 지원도 한다. 경남에 두산에너빌리티 등 원자력산업 선도기업과 협력사 310여 곳이 있다.
류명현 도 산업국장은 “창원 민생토론회 핵심은 경남을 국제적 SMR 클러스터로 육성하겠다는 의지 표명이었다”며 “도는 정부 계획에 대응하고자 원전산업 특별법 제정과 중장기 원전 로드맵에 경남 의견이 반영되도록 적극적으로 건의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미지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