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시 '민간협의체 운영' 강조했지만 간담회 한 차례만 진행
도 '삼중수소 분석 장비' 거제 '방사능 분석 장비' 계획대로 도입

경남 지자체들은 지난해 '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를 저지하려는 의지를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지자체들은 방사능 검사 강화, 안전 수산물 공급 등 '사후약방문'에 가까운 대책만 내놓았을 뿐이다. 하지만 그마저도 일부는 제대로 이행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도는 지난해 7월 원전 오염수 방류를 앞두고 5개 분야 15개 추진 과제를 발표했다.

우선 도는 행정부지사를 단장으로 하는 대응반을 구성해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다. 도는 특히 '삼중수소 분석 장비 신규 설치' 방안을 내놓은 바 있는데, 지난해 11월 수산안전기술원에 장비를 구축했고, 오는 3월 본격적인 활용에 들어간다. 도는 올해 5월 관련 장비를 한 대 더 마련해 보건환경연구원에 구축할 계획이다. 도는 해양수산부에 건의해 경남지역 방사능 조사 정점도 애초 8곳에서 23곳으로 늘렸다. 또한 '수산물 정부 비축 품목'을 확대하고자 해수부에 건의했고, 시행령 개정 결과물을 끌어냈다.

다만 도는 '수협 위판장 방사능 분석 장비 설치 지원'을 해양수산부에 건의했지만, 도내 수협에 실제 적용된 사례는 없다. 또한 도는 애초 거론한 '주간 브리핑'도 정부 발표와 중첩된다고 판단해 실행하지 않았다.

이 밖에 '도민 참여 수산물 방사능 검사 참관제'를 6월부터 매달 시행했지만, 갈수록 관심이 떨어지면서 지난해 12월 종료했다.

도 관계자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명예 감시원 운영, 소비 촉진 행사 등을 이어갈 계획"이라며 "도는 안전한 수산물 제공에 계속해서 힘을 쏟고 있다"고 말했다.

통영시는 국내 수산 1번지라는 점에서 이 문제의 당사자이기도 하다.

천영기 통영시장은 지난해 5월 '조용한 대응' 발언으로 비판 뭇매를 맞았다. 그러자 통영시는 천 시장 이름의 입장문을 통해 관련 대책을 내놓았다.

주요 내용은 △국가 연구기관 방사능 분석 결과 발표 때 자료를 수시로 입수해 시민에게 홍보 △수산물 생산·위판 때 방사능 검사 강화 △유관 기관과의 긴밀한 협조 체계 구축 △수입 수산물 원산지 표시 지도·단속 강화 등이다.

실제 통영시는 '수산물 방사능 검사 결과 매주 공개' 등에서는 지금껏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 통영시가 공개한 2월 4주 차 방사능 검사 결과를 보면, 검사 대상 7종(멸치·굴·건멸치·쥐노래미·볼락·아귀·붕장어)은 방사성 세슘, 요오드 검사에서 모두 적합 판정을 받았다.

하지만 통영시가 대표적으로 내세웠던 대책에서는 현재 갸우뚱하게 만든다. 통영시는 당시 '민관협의체 구성·운영'을 첫 번째 대책으로 내세우며 특히 강조한 바 있다. 소비자 불안을 해소하고 안전 수산물을 공급하고자 민관협의체를 구성해 역할 분담으로 적극 대응하겠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지금까지 간담회 형식의 자리가 한 차례 열렸을 뿐이다. 천 시장, 관내 수협 조합장,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통영지원장은 지난해 7월 11일 간담회에 참석해 수산물 안전성 홍보, 판촉 행사 적극 추진 등을 결과물로 내놓았다.

시 관계자는 27일 "협의체를 구성한 건 맞고, 공식적으로는 간담회를 한 차례 열었다"며 "관련 협의 사항이 있으면 긴밀히 연락하는 체계"라고 밝혔다.

또한 천 시장은 지난해 6월 시의회 시정질문 답변 과정에서 타 지자체와 연대 대응 뜻도 나타냈지만, 이후 구체적인 결과물을 내놓진 않았다.

거제시도 대표 해양 도시로 지난해 여러 대책을 거론했다. 거제시는 자체 예산 4억 원을 들여 '방사능 분석 장비' 도입을 추진했다. 시가 공공 급식 등에서 수산물 방사능 검사를 직접 하겠다는 것이었다. 시는 실제로 장비를 도입한 상태이며 다음 달 시범 운영에 들어갈 계획이다.

다만 박종우 거제시장은 지난해 9월 시정질문 답변 과정에서 '거제 해안 방사능 수치 누리집 공개'를 언급했지만, 현재 누리집에는 이 정보가 없다.

/남석형 기자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