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선정 신아sb 터 재생사업
문화복합단지·경제거점 목표
절차 늦어 토양정화 손도 못 대
통합 후 인구 감소세 굳어져
12만 명선 붕괴도 시간 문제
산업 개편 등 성장동력 시급

'바다의 땅' 통영은 남해안을 대표하는 수산업 중심지다. 조선시대에는 삼도수군통제영이 설치된 군사 기지였다. 이름난 문화·예술인을 다수 배출해 예향으로도 불린다.

이렇듯 화려한 수식어를 가진 고장이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만성적인 인구 감소에다 지역 주력 산업이던 조선업이 쇠퇴하면서 활력이 떨어지고 있다. '글로벌 통영 르네상스'를 기치로 내건 폐조선소(옛 신아sb) 도시재생사업은 탄력을 받지 못한 채 더디기만 하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강석주(58) 시장이 재선에 도전한다. 국민의힘 소속 예비후보는 강근식(62) 전 경남도의원, 강석우(63) 전 대통령비서실 국정상황실 국장, 김종부(70) 전 창원시 제2부시장, 김태종(53) 변호사, 정동영(66) 전 경남도의원, 천영기(60) 경남도당 대변인 등 6명이다. 박청정(79·우리공화당) 전 해군사관학교 교수, 서필언(66·무소속) 전 행정안전부 제1차관도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신아sb터 도시재생사업 답보 = 통영 폐조선소 재생 사업은 문재인 정부 1호 경제 기반형 도시재생 뉴딜 사업으로 주목받았다. 2017년 말 국토교통부 도시재생 뉴딜 사업으로 선정된 통영 봉평지구 도시재생사업 가운데 하나다.

통영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시행한다. 도남동 일대 17만 2096㎡ 규모 폐조선소 터를 활용해 관광·문화형 복합 단지와 지역 경제거점으로 개발하는 게 뼈대다. 조선업이 쇠퇴하면서 침체한 통영 지역에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꾀하는 목적이다.

LH는 2018년 옛 신아조선소 땅을 사들여 국제 공모 후 재생사업 밑그림 '캠프마레(CAMP MARE)' 계획안을 세웠다.

이후 시의회 의견 청취와 주민 공청회,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 승인 고시, 전문가 자문기구인 총괄계획단(MP) 구성 등이 이뤄졌다.

하지만 기대와는 달리 진척도가 늘어지고 있다. 우선 오염토양 정화 작업을 거쳐야 하는데, 각종 행정 절차가 마무리되지 않아 시작도 못했다.

특히 경남도와 견해차로 도시개발구역 지정과 개발계획 승인이 지연되고 있다. 답보 상태인 행정 절차를 조속히 끝내고 사업을 본궤도에 올리는 게 급선무다.

강근식 예비후보가 폐조선소 재생을 포함한 봉평지구 도시재생사업 조기 완공을 공약으로 제시했다.

◇인구 증가 등 지역 활성화 절실 = 통영 인구 감소세가 굳어졌다. 3월 기준 주민등록 인구는 12만 4872명으로 지난해 말보다 511명 줄었다. 이런 추세라면 12만 고지가 무너지는 것도 시간문제로 보인다. 심각성을 인식한 통영시가 인구 증가 정책을 최우선 과제로 정해 대응하고 있으나 유출을 막는 데는 역부족이다.

옛 충무시·통영군 통합으로 통영시가 출범한 1995년(14만 2714명) 이후로 인구는 늘지 않았다. 1999년(13만 9093명) 14만 명 밑으로 떨어졌고, 연거푸 감소했다. 2006년(13만 3127명) 반등해 상승세를 타고서 2010년(14만 297명) 14만 명을 회복했다. 그러나 2012년(13만 9347명) 13만 명대로 추락하며 감소세로 돌아섰고, 2020년(12만 8293명)에는 12만 명대로 주저앉았다.

단기간에 해결하기는 어렵지만, 실질적인 해법 마련이 절실한 과제다. 산업구조 재편 등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바탕으로 한 지역 활성화가 시급하다.

예비후보들은 인구·출산·복지 문제 해결(강석우), 산업단지 활성화와 기업 유치에 따른 일자리 증대(천영기), 지역 경제 활성화·서민 생활 안정(정동영), 해양수산바이오 산업단지 조성(김종부), 4차 산업·마이스 관광산업 육성(서필언), 수산업 스마트화·해양바이오 신소재 산업 육성(강근식) 등을 공약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