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의회 정책지원관, 학교-마을 잇기 뒷받침 제안

전국 17개 시·도 중 경남만 유일하게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 지원에 관한 조례'가 없다. 학교라는 공간이 학생 교육을 넘어 '마을 교육·평생 교육의 장'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조례 제정이 늦은 만큼 폭넓은 논의가 필요하다는 제안이 나왔다.

경남도의회 진영원 정책지원관은 최근 <정책프리즘>을 통해 학교와 마을을 잇는 사업을 뒷받침할 조례 제정 논의가 시작돼야 할 때라고 제안했다.

교육부는 전국적으로 '학교 공간 혁신'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경남도교육청은 지난해 18곳을 선정했고, 학교라는 공간을 지역사회과 공유하는 공간으로 바꿔나가고 있다. 올해 도교육청은 신규사업으로 경남도와 각각 20억 원씩을 들여 '경남형 학교공간혁신 모델 구축사업'을 진행하며, 올해 총 12개 학교를 선정했다.

12곳 중 한 곳인 진주 대곡초등학교는 허허벌판에 축구 골대만 있는 운동장을 싹 바꿔 숲·물놀이터·풋살장으로 만들고 있다. 아이들만 누볐던 학교 운동장을 지역민에게도 내어주자는 취지다.

도교육청은 '경남형'이란 이렇듯 학교 공간을 '학생+지역민' 공간으로 바꾸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외에도 학교 공간 혁신 사업은 여러 갈래로 나뉘어 초등교육과, 학교혁신과에서 추진하는 '1학년 교실 학교 혁신 사업', '어린이 실내놀이 환경 개선 사업' 등이 있다.

진 지원관은 "감염병의 시대, 학교시설을 복합화해 취약계층 아동의 돌봄, (감염병으로 빼앗긴)아동의 놀 권리 확보, 홀몸 어르신을 보살피는 등 취약지점의 마을 구성원을 싸안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뒷받침하려면 '마을교육공동체 조례'가 필요한데, 이 조례는 전국 17개 시·도 중 경남을 뺀 16개 시·도에 제정되어 있다.

부산은 최근 전부 개정으로 교육청과 자치단체가 공동 진행 중인 '다행복교육지구' 사업 추진 동력을 확보하는 등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진 지원관은 "'경상남도 마을공동체 활성화 조례'가 지난해 만들어졌지만, 교육을 매개체로 한 공동체와는 결이 다르다. 이에 다른 자치단체도 '마을 공동체 조례'와 '마을교육 공동체 조례'를 따로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도교육청도 2017년부터 현재 9개 지역에 행복교육지구 사업을 진행하고 있어 조례 제정으로 실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며 "조례 준비가 늦은 만큼 도-교육청-민간을 아우르는 협의체 운영, 각종 공간의 사용과 지원 등 현실적인 문제, 실질적인 마을 교육 취지를 담을 수 있는 법적 기반을 중심으로 폭넓게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