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5차 사회혁신 토론회
지역 자산화 사업 사례 공유

"민간자산가들의 부를 늘려야 하는가. 아니면 지역과 지역공동체의 부를 늘려야 하는가. 지역 자산화는 공공과 다중이 주인이 되는 과정이며 미래세대에게 주는 선물이다."

전은호 목포시도시재생지원센터장이 19일 오후 경남도청 도민쉼터에서 '지역자산화 전략'을 주제로 열린 '경남을 디자인하다' 5차 사회혁신 연속토론회에서 근본적인 질문을 던졌다.

지역자산화란 지역주민이 빈집 등의 유휴공간을 매입해 미래가치가 있는 곳으로 탈바꿈하는 '지역자산 공동소유 운동'이다. 관리와 운영주체를 맡은 주민이 지역 자산의 주인이 되는 과정이다.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사례는 근대역사문화자산이 많은 목포 원도심 만호동 도시재생뉴딜구역이다. 경남에선 거제시 장승포 원도심에서 지역 자산화 운동이 일고 있다.

전 센터장은 "독점적인 지역자산의 소유는 지역경제 활동 성과를 상류층과 일부에게만 돌아가게 한다"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경제적 유익을 얻고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협동조합과 같이 확장된 협력적 소유 모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 도시재생사업에는 대체로 공공이 100%를 출자한다. 그러나 프랑스 민관협력공사(Semaest)는 상공회의소와 소상공인연합회, 시민사회가 모두 참여해 운영과 관리를 하는 주인이 된다"면서 "이를 배울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는 동네서점이나 카페가 폐업했을 때, 지역 이용자가 이를 인수해 공유 자산으로 바꾸는 다른 나라의 사례를 참고해 우리나라의 지역 자산화 사업을 확대시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박은진 공유를위한창조 대표는 "도시재생사업구역으로 지정된 부산 영도에서 원주민 40여 명과 함께 협동조합을 꾸려 빈집을 사들이고 '우리가사랑방'이라는 곳을 만든 경험이 있다"며 "원주민들에게 힘이 생겼다. 수익은 마을 축제나 기금으로 활용하고 현재 빈집 3곳을 매입해 추가 확장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올해 1월부터 도시재생사업을 진행한 거제 장승포에서도 원주민들이 빈집을 매입해 이를 공유공간으로 만들고 장승포의 주체가 되는 과정을 함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영철 사회혁신기업 더함 이사는 지역자산화 운동에 대해 "공공, 민간, 사회적경제 주체가 역량과 지원의 협력을 통해 사람들 삶과 생활을 재구성하고 적정 이익과 사회적가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