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에 살고 있는 청년들이 있는데 오히려 지역 사람들은 '능력 있으면 어서 떠나라'고 등을 떠민다. 지역에 남아 있으면 실패자로 인식된다."

취업을 하지 못하면 패배자로 낙인 찍는 사회 분위기, 그리고 자아와 미래에 대한 고민을 할 여유도 없다. 앞으로 뭘 해야 할지도 모르는 무기력증도 앓는다. 경남에 사는 청년들은 이런 고통에 더해 떠나지 않으면 실패자로 보는 시선에 더 힘들다.

지난달 24일 열린 '경남 청년친화도시 추진 방안 토론회'에서 청년도시모델과 청년소득지원제도 연구자들은 심층면접조사에서 들은 청년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그대로 전했다. 연구자들이 거듭 강조한 것은 청년문제를 바라보는 시각,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이었다. 청년들은 학업, 취업, 결혼, 출산으로 이어지는 기성세대 삶의 단계를 꼭 거쳐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지만 그 단계를 밟지 않거나 못했을 때 낙오자로 바라보는 시선을 힘들어한다.

연구자들은 '아직 무엇이 되지 않은 청년도 가치 있게 봐 주는 시각', '뭐라도 해 볼 수 있게 떠나지 않고 할 수 있는 사람으로 인정'부터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구유출 대책으로 귀농·귀촌처럼 다른 데서 오는 사람에게 지원을 하고, 주력산업이 쇠퇴하면 새 사업에 눈을 돌리는 게 현실이다. 수도권과 지역의 청년정책 차이도 크다. 서울은 청년문제 해결을 위한 인프라 구축과 함께 자존감 회복, 과도한 경쟁에 따른 상처 치유도 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은 여전히 일자리, 결혼과 출산 등의 문제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청년문제는 경남도가 민관협력 체제를 만들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추진하는 여러가지 사회혁신 의제 중 하나다. 토론을 들으며 깨달은 만큼 앞으로 어떤 청년정책이 나올지 기대도 크다. 경남에 사는 사람이 떠나지 않고 잘 잘 수 있게 해야 한다는 방향에 동의한다. 청년, 장애인, 임산부, 실직자, 노인이든 그들이 살기 좋은 곳은 누구에게나 살기 좋은 곳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