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 "면피용 조사", 진해 "갈등 부추길 뿐"vs창원 "시민의 뜻"

창원시가 청사 입지와 관련한 시민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시의회가 22일부터 24일까지 사흘간 진행할 올해 첫 임시회에 눈길이 쏠리게 됐다.

여론조사 결과를 두고 옛 마산과 진해지역 의원들은 "조사 자체가 지역 갈등만 키웠다"며 반발하고 있지만, 옛 창원지역 의원들은 "시민 뜻이기에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분위기다. 시 집행부는 "우리가 할 수 있는 마지막 방법"이라며 의회에 결단을 촉구했으나 의원들은 견해차를 못 좁혀 이번 결과에 대한 논의부터 불투명한 상황이다.

◇마산 '강력 반발', 창원 '여론 수용', 진해 '대책 고심' = 여론조사 결과에 대해 세 지역 의원들 반응은 엇갈렸다. 마산지역 의원들은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21일 저녁에 만나 대응책을 논의하고, 여야 의원이 함께 기자회견 등을 통해 입장을 밝히기로 했다.

창원시가 21일 오전 창원시청 브리핑룸에서 창원시 청사와 관련한 시민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날 김동하 균형발전국장이 조사 결과 발표 후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박일호 기자

한 마산지역 의원은 "통합준비위원회 정신을 존중해야 하는데, 이런 정신이 배제됐다. 상생이나 균형발전 가치와 배치되는 여론조사였다"며 "6억 원을 들인 청사 후보지 타당성 용역 결과도 있는데, 집행부의 면피용으로 여론조사를 벌인 점은 매우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진해지역 의원들 역시 대책을 세울 태세다. 한 진해지역 의원은 "현장에서 직접 듣는 반응과 다른 결과여서 당황스럽다"이라며 "여론조사를 통해 시장 개인 노력만 강조하는 것은 괜한 갈등을 부추기는 결과밖에 안 가져온다"고 했다.

창원지역 의원들은 결과를 존중하고 시민 뜻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 창원지역 의원은 "현 임시 청사를 사용하자는 시민 뜻에 따라야 한다. 여론조사 문항 등을 문제 삼을 수 있지만, 어디에서 해도 비슷한 결과가 나올 것이다. 시에서 시민 뜻을 묻는 것은 당연하고, 의회에서 해야 했을 일"이라고 얘기했다.

   

◇청사 갈등, 끝은? = 이처럼 의원들 입장이 부딪치는 상황에서 여론조사 결과가 임시회에서 다뤄질 가능성은 희박하다. 6000만 원을 들인 집행부의 청사 여론조사는 물거품이 될 수도 있다. 여론조사 결과는 안건이 아니어서 간담회 등 형식으로 의원들이 직접 자리를 마련해야만 논의할 수 있다. 또, 배종천 의장은 "처음부터 의회와 공동조사를 요구했지만, 집행부가 거부했다. 제출받은 여론조사 결과를 전 의원에게 배분하겠다"면서도 "의장단 회의를 통해 집행부와 같이 여론조사를 안 하기로 정했으니 임시회에서 다루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의원 55명 모두 모이는 본회의는 22일과 24일 두 차례. 청사 주소를 마산종합운동장, 진해 옛 육군대학 터, 창원 39사단 터 가운데 하나로 바꾸는 '창원시 청사 소재지에 관한 조례 개정안'이 상정될 수는 있다. 그러나 이 안건은 지난달 14일 몸싸움 끝에 부결됐다. 의장 직권이나 재적의원 3분의 1 이상 요구로 회의에 부칠 수 있으나 충돌을 빚을 수밖에 없어 의원들도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인다.

자칫 대립이 극심해질 우려도 나온다. 한 마산지역 의원은 "22일 오전 기자회견 이후 대응 수위도 협의할 것이다. 갈수록 수위가 높아질 것"이라고 했다. 집행부의 야구장 입지 발표도 주목된다. 한 창원지역 의원은 "시에서 야구장을 먼저 결정하면, 의회도 선택 폭이 좁아져 청사 입지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