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우고 외면해도 참극은 잊히지 않았다…인간소외 문제 아직도 그대로

지난 20일 오후 하늘은 금방이라도 비가 쏟아질 듯 먹구름이 가득했다. 이튿날 새벽부터는 이내 추적추적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그날의 하늘도 이랬다고 한다. 일명 '우순경 사건'으로 불리는, 1982년 4월 26일 의령군 궁류면 총기난동 사건 당일도 이렇게 봄비가 왔다.

궁류지서에 근무하던 당시 27세의 우범곤 순경은 무기고에서 탈취한 총과 수류탄을 닥치는 대로 난사해 온 마을을 쑥대밭으로 만들었다. 사망자 56명, 부상자 35명. 요즘으로 치면 한국계 미국인 조승희의 버지니아공대 총기난사 사건(2007년·사망 32명)이나 노르웨이 극우테러주의자 브레이비크의 지난해 77명 살해 사건과 비견될 만하다. 4월 26일은 우 순경 사건이 일어난 지 꼭 30년이 되는 날이다.

우순경 사건 직후 발행된 <경향신문> 1982년 4월 27일자 1면. 가운데 범인 우범곤 순경(작은 사각형 안)의 얼굴이 보인다.

취재진은 우 순경의 '광기'가 가장 극에 달했던 현장으로 향했다. 토곡리 궁류지서 앞에서 살인을 시작해 근방 2km 일대를 휘저은 우 순경은 그날 밤부터 다음날 새벽까지 평촌리 한 곳에서만 모두 28명을 죽였다.

현장 근처에 살고 있는 정계현(74) 씨가 "문씨네 상갓집에 모여 있던 수십 명을 죽인 뒤 여기서 우 순경이 수류탄을 터뜨려 자살했다"며 과거 가옥이 있던 위치를 가리킨다. 다 쓰러져가는 대문과 돌담만 달랑 남은 '공터'의 한 구석이었다. 그 바로 옆 하얀 집은 12명이 몰살당한 상갓집이 있던 자리였다.

정계현 씨는 "마침 남편이 다리가 아파, 우리는 상갓집 갔다 집에서 쉬고 있었다. 아들도 불을 켜고 책을 보고 있었는데 다행히 아무 일도 없었다"며 "총 소리가 들렸지만 별 일 아니라 생각했다"며 당시 기억을 더듬었다.

정 씨의 증언이 이어지던 중, 갑자기 사방에서 호통과 원망 소리가 들려오기 시작했다. "난 또 무슨 일이라고…. 그만 하고 이제 가소!" 정 씨의 다른 가족은 그날 사건을 떠올리는 것조차 싫은 듯했다. 물론 취재진의 관심도 반갑지 않았다. 기자는 "죄송합니다", "금방 가겠습니다", 연신 머리를 조아려야 했다.

우 순경은 평촌리로 향하기 직전 800여 m 떨어진 운계리 궁류시장에서 18명을 사살했다. 이곳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한 50대 주부는 "사건이 일어나고 이듬해(1983년) 여기로 시집을 왔는데, 마을 분위기가 말이 아니었다. 시간이 꽤 흘렀지만 좋은 일도 아닌데 누가 그날 일을 흔쾌히 이야기하고 싶겠느냐"고 말했다.

마을 주민들에게 우 순경 사건은 한 미치광이가 '세상과 사람들에 불만을 품고 홧김에 저지른', 기억 속에서 지우고 싶은 '악몽' 같은 것인 듯했다. 희생자를 추모하는 비석이나 위령탑을 세우지 않은 이유도 그 때문이었다.

사건으로 외할아버지를 잃은 성준후(45) 씨는 "우 순경이 청와대(서울시경)에서 근무하다 이곳으로 좌천돼 불만이 많았다고 들었다"고 전했다. 당시 주요 언론은 우 순경을 주벽이 심하고 난폭한 '성격파탄자'로 묘사했다. 궁류지서 발령 역시 이와 관련 있다는 보도도 있었다.

미리 상황을 알려준 방위병 덕분에 가까스로 목숨을 구한 김송포(70) 씨는 "그날 애인과 심하게 다투었다고 한다. 그게 우 순경을 화나게 했다"고 말했다. 함께 있던 한 노인은 언론보도를 떠올리며 "파리 한 마리 때문에"라는 말도 했다.

우 순경의 애인이었던 전말순(당시 25세·사망) 씨는 죽기 전 "낮잠을 자던 중 (우 순경) 몸에 붙은 파리를 잡아주기 위해 내가 손바닥으로 가슴을 치자 벌떡 일어나며 화를 냈다"는 증언을 남겼다. 이를 계기로 우 순경과 말다툼을 했고, 결국 술까지 먹고 폭행을 시작했다는 이야기였다.

하지만 이 정도로 당시 사건을 '이해'하는 건 누가 봐도 무리가 많다. 음주 습관이나 성격, 인사 불만 따위가 56명 살해의 동기라면 우리 사회는 날마다 끔찍한 소식을 전해 들어야 할지도 모른다.

언론이 여기에 더해 주목한 건, 경찰 임용·인사시스템과 처우 문제, 무기 관리체계, 그리고 현대 산업사회의 인명경시 풍조 등이었다. 한 철학자는 <경향신문> 82년 4월 28일 자에 기고한 글을 통해 이렇게 주장하기도 했다.

"기술이 지배하는 산업사회에서는 비인간화와 인간소외에 의해서 인간이 심리적 정신적인 갈등과 질환에 걸리기 쉽다. 따라서 합리적이고 조화로운 인간적 사회운영이 정신적 건강의 필수조건임을 분명히 알고 그러한 사회 실현을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한다."

왠지 익숙할 수밖에 없다. 지금도 유사한 사건이 터지면 으레 나오는 소리와 똑같기 때문이다. 앞서 조승희 사건을 비롯해, 유영철 연쇄살인 사건(2004년·사망 21명), 경기도 연천 GP 총기난사 사건(2005년·8명) 등 매번 '인간소외' 문제가 언급되지 않은 적이 없었다.

30년 전, 아니 이미 아주 오래 전부터 공론화되었음에도 현재도 전혀 달라진 게 없고, 오히려 더 심화되는 상황이라면 대체 무엇이 문제인 걸까.

평촌리에 사는 정계현 할머니가 우 순경이 폭사한 현장을 손으로 가리키고 있다. 뒤쪽에 보이는 하얀 집이 12명이 몰살당한 상갓집이 있던 자리다. /박일호 기자

평촌리 한 집에서 폭사한 우범곤 순경의 시신은 원래 이 지역에 묻으려고 했으나 주민들의 반대로 근처 칠곡면의 한 공동묘지에 매장되었다고 한다. 우 순경 장례는 부산에 살던 동생과 궁류지서 경찰 몇 명만 지켜보는 가운데 조용히, 쓸쓸히 치러졌다는 후문이다.

한데 운계리 한 주민의 증언에 따르면, 우 순경의 시신은 얼마 안가 칠곡면 주민들의 반발로 다시 파헤쳐졌고 모처에서 화장된 뒤 뿌려졌다고 한다. 스스로 수류탄을 터뜨린 것으로 보아 이미 자신의 최종 운명을 직감했던 우 순경은 죽어서도 그 처지가 결코 순탄치 않았던 것이다.

마지막 순간, 과연 그에겐 '죄책감'이라는 게 떠올랐을까? 우 순경 사건과 같은 '쉽게 설명될 수 없는' 사건은 오늘도 일어나고 있고 내일도 또 일어날 것이다. 우리는 그런 비극적인 시대를 함께 '살아내고'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