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창원·진해의 행정통합 이후 수많은 분란과 갈등은 이미 예견되어 왔다. 갈등의 중심에 현재 통합청사의 위치선정 문제가 놓여 있다. 하지만, 시의회에서 벌이는 갈등은 비예측적이기보다 구조적인 측면이 강하다. 이미 구조화된 문제는 해결하려는 정치적인 의지와 결정이 없이는 해결이 불가능하다.
마산·창원·진해라는 이질적인 세 도시 통합은 지역주도권을 둘러싼 갈등을 이미 사전에 예고하여 왔다. 생활권역이 같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도시통합을 한다면, 거대도시에 인접한 위성도시들은 모두 이웃 대도시로 편입되어야 마땅하다. 그러나 작은 중소도시에도 나름의 역사와 전통이라는 문화적 동질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지방자치의 자양분인 향토주의 혹은 애향심으로 나타난다. 즉, 해당 지역의원들이 출신 지역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면서 통합청사 유치에 발 벗고 나서는 행동을 소(小) 이기주의라고 몰아붙일 수는 없는 노릇이다. 지역의 경제적 발전 정도가 차이나는 마당에 일방적인 결정은 항상 특정 지역이 다른 지역을 식민화하려 한다는 의혹마저도 성립하게 한다.
통합청사 유치를 지역 생존권 문제까지로 인식하는 사고를 유아기적 발상이라고 폄훼하기 어려운 이유는 성장지역과 낙후지역이라는 뚜렷한 대비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런 현실을 무시하고 시의회라는 공간에서 이성적으로 논의해 결정하라는 건, 처음부터 싸움이나 하라는 냉소와 다를 바 없다. 통합청사 위치선정은 용역 연구보고서로 결정될 성질이 아니다. 지역정치 주체들이 타협과 협조라는 원칙에 따라 정치적으로 결정될 수밖에 없다. 지역정치 주체에는 시의회만이 아니라 창원시가 당연히 포함되고, 창원시가 이제는 나서야 한다.
통합청사의 위치선정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규정은 신청사 건립으로 얻게 될 경제적 투자비용 대비 효과와 시민접근성과 편의성 정도이다. 청사 위치선정은 복잡한 규정 없이도 얼마든지 가능하고, 정작 중요한 건 통합청사 유치에 실패한 지역에 대한 정치적 배려다. 이렇게 당연한 귀결을 두고 정치 주체들이 발벗고 나서지 않는 모양새는 이전투구 판에 발 빼고 있으면서 이득만 챙기려는 고약한 심산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무한대에 가까운 양보와 일방적인 결정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창원시장은 인정하길 바란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