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사 노조 총파업 선언
지역사회 저지 움직임
중국·일본 등 외국 정부
합병 승인 여부도 변수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이하 대우조선) 인수합병(M&A)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고용 불안을 우려하는 양측 노조가 강하게 반발하며 총파업을 선언했고, 중국과 일본을 비롯해 국외 경쟁 당국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등 적지 않은 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남은 일정은 = KDB산업은행은 지난 2월 12일 삼성중공업의 최종 불참을 통보받고 인수 후보자로 현대중공업을 확정했다고 발표했다.

우선 산업은행과 현대중공업은 3월 초 본계약 체결을 위한 이사회를 열고 필요한 절차를 시작한다. 해당 안건이 승인되면 8일 산업은행과 현대중공업이 본계약을 체결하고 거제 대우조선을 찾아 현지실사에 착수한다. 현지실사는 재무제표, 실물대조 확인 등을 중점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노조와 마찰 가능성이 크다.

본계약 후 핵심 변수는 국내외 기업합병 심사 여부다.

시장 독식을 우려하는 중국 등 경쟁국들이 반독점 문제를 제기하며 견제에 나선다면 진통이 예상된다.

경쟁 당국의 승인이 완료되면 조선통합법인 주주배정 유상증자와 산은 보유 대우조선 주식 현물출자, 조선통합법인의 대우조선 앞 유상증자 완료 등을 통해 대우조선 민영화 작업이 마무리된다.

도내 조선업계 한 관계자는 "경쟁 당국의 승인이 이뤄지면 이르면 내년 초 메가 조선사가 탄생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거세지는 노조 반발 = 현대중공업·대우조선 양사 노조는 지역 경제와 조선기자재 업체 파탄, 고용 불안 등을 이유로 일제히 이번 인수에 반대하고 있다.

대우조선 노조는 인수 반대 쟁의행위를 위한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90% 이상의 찬성으로 파업을 결의했고, '4시간 부분파업'을 비롯해 지난달 27일에는 산업은행 본점 앞에서 매각 반대 집회도 개최했다. 집회에는 대우조선은 물론 현대중공업 쪽 노조원 등 700여 명이 참가했다.

이들은 결의문을 통해 "밀실 협상과 노동조합을 배제한 채 이뤄진 매각은 즉각 중단되어야 한다"면서 "조선산업이 현대중공업을 중심으로 '빅1 체제'로 재편되면 조선산업 생태계뿐 아니라 지역경제도 무너진다"고 지적했다.

지역의 반발도 거세지고 있다. 거제시의회와 거제상공회의소 등이 이번 인수합병에 대해 우려를 전했고, 하도급업체, 협력업체, 기자재업체의 도산 우려와 지역경제를 다 죽인다는 부정적인 여론도 인수과정에서 넘어야 할 만만찮은 과제다. 오는 7일에는 대우조선 노동조합이 대우조선 서문 등 각 출입문에서 시민들과 함께 '잘못된 매각 중단을 위한 거제시민 한마음 촛불 띠 잇기' 행사를 개최한다.

◇인수합병, 국제분쟁 우려도 = 국내에선 메가 조선사 탄생은 국내 조선 업계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의견이지만, 국외 각국의 기업합병 심사를 통과한다는 보장도 없다.

국내 공정거래위원회를 비롯해 미국, 유럽, 중국 등 경쟁국에서 양사의 인수합병을 독과점으로 판단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현대중공업(56조 1000억 원)과 대우조선해양(12조 2000억 원)의 자산총액 규모는 2조 원 이상으로 기업결합 심사 대상이다. 공정위 심사 기간은 최대 3개월이다. 국내 심사를 통과해도 외국 정부 승인도 받아야 한다.

액화천연가스(LNG)선, 초대형원유운반선(VLCC) 분야에서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 점유율을 합치면 50%가 넘는다. 이에 세계무역기구(WTO)와 유럽연합위원회 등이 인수에 반대할 수도 있다.

대우조선 관계자는 "특정 국가가 아니라 전 세계를 대상으로 수주 활동을 해야 하는 조선업의 특성상 만약 한 국가라도 반대하면 인수가 어려워질 수 있다"면서 "어느 한 국가에서 WTO에 제소하면 국제분쟁의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

산업은행 이동걸 회장은 경쟁 당국의 기업결합심사 통과 가능성은 50% 이상으로 전망했다. 대우조선 합병 이후 20%의 시장점유율, 기업결합에 따른 혜택 등 독과점 논란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 있지만, 승산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경남 도내 조선업계 관계자는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합병은 국내외 공정위 기업결합 심사가 인수 일정에 큰 영향을 끼칠 것"이라며 "본계약 체결 이후 대우조선과 거제를 비롯한 경남지역 조선업체와의 상생 안을 내 국내 반발을 최소화하겠지만 결국 경쟁국의 반발을 어떻게 무마할지가 현대중공업과 산업은행이 풀어야 할 숙제"라고 전망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