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연한 당초 2067년서 2040년으로 줄어
매립량 증가·위탁 관리 부실 원인 지목

유산폐기물매립장이 매립량 관리 부실로 매립연한이 대폭 줄어들면서 양산시가 뒤늦게 대책 마련에 나섰다.

지난 4일 시는 '유산폐기물매립장 운영관리계획' 중간보고회를 열고 매립연한이 2067년이었던 계획보다 빨리 매립이 이뤄져 2040년이면 포화상태에 이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애초 65년간 매립장으로 활용하겠다는 계획과 달리 27년 매립연한이 줄어든 것이다. 매립연한이 줄어든 이유는 2008년 기본계획을 수립할 때 연간 2만 1000㎥ 규모로 매립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지만 양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특히, 매립량이 늘어난 배경에는 하수 또는 정수과정에서 생긴 침전물인 오니류 반입이 대폭 늘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유산매립장은 양산·김해와 일부 민간 사업장폐기물과 함께 생활폐기물을 처리하고 있다. 지난해 4만 6349㎥가 반입됐고, 올해는 3만 4844㎥가 매립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계획보다 2배 이상 많은 양이 들어온 셈이다. 이 가운데 하수·폐수처리장·정수장·바이오가스화시설 등에서 나오는 오니류는 전체 매립량의 70%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오니류는 매립장 오염을 방지하려고 사용하는 복토재가 일반폐기물보다 3배 가까이 더 필요해 매립연한이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1995년 운영을 시작한 유산폐기물매립장은 도심 가까운 곳에 민원을 최소화하는 입지조건으로 양산지역 폐기물 처리를 한 세대를 뛰어넘는 기간에 걸쳐 담당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매립량 관리 부실로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 됐다. /양산시

이처럼 매립량 관리에 문제가 생긴 이유로 '매립장 관리 이원화'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시는 2003년 매립장 관리를 시설관리공단에 위탁했다. 매립량이 크게 늘어난 것도 이 시점부터다. 경영 수지를 걱정해야 하는 공단이 폐기물을 많이 받아들여 수익을 올리는 방식을 선택한 결과다. 이를 관리·감독해야 할 시 역시 매립장의 특수성을 고려해 공익적 관점에서 장기계획을 집행하기보다 공단에 업무를 떠맡긴 것이 아니냐는 비판에서 벗어날 수 없다.

매립연한이 줄어들면서 생기는 가장 큰 문제점은 혐오·기피시설인 매립장을 다른 곳에 추가 설치하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고민이 밑바탕에 깔렸다. 또한, 하루 120㎥ 규모의 생활폐기물을 처리하고 있는 동면 자원회수시설에 문제가 생길 때를 대비해 여유공간을 마련하지 않으면 '쓰레기 대란'이 예상보다 이른 시일 내 닥칠 수 있다는 점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양산은 전국에서도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가 느는 지역이라는 특성을 생각하면 매립장 운영에 더욱 신경 써야 하지만 '수익'에 급급해 긴 안목을 보여주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에 따라 시는 단기적으로 현재 70%가량인 오니류 반입을 30% 수준까지 낮추고, 장기적으로 오니류를 자체처리할 소각시설을 갖춘다는 생각이다.

여기서 문제는 오니류 감축이 생각처럼 쉽지 않다는 사실이다. 현재 양산지역에서 발생하는 오니류는 일일 35.78㎥ 규모다. 이 가운데 19.42㎥는 매립하고 16.36㎥는 민간기업에 재활용 처리를 맡기고 있다. 인구가 늘어날수록 하수·정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니류 역시 늘어나는 반면, 해마다 처리비용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매립 외에 처리방안이 마땅치 않다.

장기과제로 꼽은 오니류 소각시설 설치 역시 비용도 문제지만 입지 선정이 만만치 않다. 가장 좋은 방안은 오니류가 발생하는 곳에 처리시설을 함께 설치하는 방안이지만 이미 신도시지역에 있는 동면 하수처리장에 추진할 때 집단민원이 불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는 최종보고회까지 관련부서 간 업무협의를 통해 오니류 처리를 위한 대책을 수립·추진하고, 소각시설 설치 여부를 다각도에서 검토키로 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