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관 때부터 서울 코엑스 위탁 '수익성 치중'비판 나와
3전시관 10월 오픈 예정…도·창원시 논의 소극적일 듯

창원컨벤션센터(세코·CECO)가 들어선 지 12년여가 흘렀다. 세코는 마이스(MICE) 산업 부각으로 갈수록 주목받고 있다. 이런 가운데 경남도·창원시의 '세코 운영방식에 대한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수익성' '공익성' 균형추 = 세코는 지난 2005년 9월 창원시 두대동 4만 2796㎡(1만 2945평) 터에 들어선 전시·회의 전문시설이다. 경남도·창원시가 건립비 770억 원을 공동 출자했다. 세코 내부는 크게 제1·2 전시장과 각종 회의시설로 이뤄져 있다. 2008년 람사르총회를 앞두고 국제회의장을 증축했고, 현재 오는 10월 오픈 예정으로 제3 전시장 증축 공사가 진행 중이다.

경남도·창원시는 세코 운영비를 각각 7 대 3 비율로 부담하고 있다. 도·시민 세금으로 운영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운영 방식'은 개관 때부터 큰 관심사였는데, 코엑스(COEX) 위탁 운영으로 결정됐다. 코엑스는 지난 1986년 무역협회 전액 출자로 설립된 전시컨벤션 전문 회사다. 경남도·창원시는 "코엑스 위탁은 예상되는 적자 폭을 줄일 최적의 방안"이라고 강조하며 △외부행사 유치 △상설 전시장 임대 운영 △전시회 개발·개최 등 운영 전반을 맡겼다.

실제 세코는 재정 측면에서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개관 초기 해마다 6억~16억 원 되는 적자를 기록했지만, 6년 만에 흑자로 전환했다. 2011년 1200만 원, 2012년 9500만 원, 2013년 1500만 원, 2014년 3500만 원, 2015년 3900만 원 흑자였다. 지난해는 증축공사에 따른 대관 축소 등으로 3억 원가량 적자였다. 대략적인 수익 구조 비율은 전시 대관 35%, 회의실 대관 25%, 나머지 임대(식당·사무실 등)와 자체 개발 행사 40%로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동전 양면'과 같은 우려도 뒤따른다. 수익성에 치우쳐 공익성은 도외시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다. 대표적인 것이 결혼식 대관이다. 세코는 웨딩사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임대하고 있다. 지역 웨딩업체들로부터 곱지 않은 시선을 받을 수밖에 없다. 최근에는 증축 신관까지 결혼식 공간으로 활용할 것이라는 얘기가 돌았지만, 없던 일로 정리되는 분위기다. 또한 대중가수 대형 콘서트를 개최하는 것에 대해서도 일부 부정적 시각이 있다.

세코 가동률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오는데, 이것이 지역사회 상승 작용으로 연결되는지는 짚어볼 필요가 있다. 세코 전시장 가동률은 지난해 78%를 기록했다. 학계에서는 가동률 70% 수준을 포화상태로 보고 있다. 하지만 위탁 운영자가 계약 갱신을 위해 가동률 높이기에 집중해 자칫 지역 전문가 육성, 문화 접목, 관광 연계 등에는 소홀할 수 있다는 우려다. 코엑스는 계약 갱신을 이어가며 오는 2018년 12월까지 위탁 운영을 맡고 있다.

창원컨벤션센터(왼쪽) 전경. 오른쪽에 제3전시장 증축 공사가 진행 중이며 오는 10월 오픈 예정이다. /김구연 기자 sajin@idomin.com

◇위탁 외 방안은 시기상조? = 이러한 세코 운영에서 최적의 방안을 찾기 위한 노력은 개관 이후 줄곧 이어졌다.

창원시는 지난 2008년 '세코 중장기 운영 방안 마련 연구용역'을 진행했다. 당시 용역은 몇 가지 안에 대한 분석을 내놓았다. 우선 '지방공사 혹은 공단 설립'이다. 용역은 이 방안에 대해 △지방정부의 극심한 통제 △경직된 조직구조 △전문인력 부족 등을 들어 부정적으로 봤다. 또한 '별도 재단 설립'에 대해서는 △지자체 예산 투입과 운영 전문성 부족 △공유재산관리법 적용에 따른 건물 활용의 경직성 등을 지적했다. 용역은 결론적으로 지금과 같이 '전문기관 코엑스에 위탁 운영하는 것이 최적의 방안'으로 판단했다.

그런데 당시 용역에서 눈에 띄는 내용도 있었다. '민간자본(지분율 51% 약 500억 원) 유치 후 제3섹터 형태 주식회사 설립'이다. 경남도·창원시는 소유만 하고, 제3 섹터 방식 주식회사가 전적으로 운영하는 방식이다. 당시 용역은 '이상적인 운영 방식'이라는 전제를 두면서도 '적자 시설에 대한 거액 민간자본 유치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평가했다. 당시 적자액이 컸던 상황에서 나올 수 있는 지적이지만, 현재는 상황이 달라졌다는 점에서 고민의 여지가 있는 셈이다. 또한 당시 박완수 시장도 "코엑스에 위탁운영만 하면 지역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가 없다. 언제까지 이렇게 갈 수는 없지 않지 않느냐"며 '제3 섹터 방식 주식회사'에 관심을 나타내기도 했다.

경남도·창원시는 이와 같은 다양한 고민을 현재도 이어가고 있다.

창원시 미래산업과 관계자는 "세코 운영은 수익성·효율성·공공성에다 증축 이후 상황까지 복합적으로 생각해야 한다"며 "경남도와 창원시가 긴밀한 협의를 해나가고 있다"고 했다. 다만 현재로서는 이를 위한 별도 용역 계획은 없다고 덧붙였다. 자치단체장 의지가 중요할 수밖에 없는데, 시기적으로 내년 지방선거가 있다는 점에서, 올해는 다소 소극적인 논의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위탁 운영 주체인 코엑스 역시 일련의 분위기를 모를 리 없다.

이성일 세코 부단장은 "세코가 기본적으로 공익시설이라는 점에 이견은 없다. 다만, 도민 세수 부담을 완화해 보고자 일부 수익성을 가미하고 있다"면서 "지나친 적자는 도민 세금을 낭비하는 것이고, 반대로 지나친 흑자는 공공성을 해치는 측면이 있다. 개관 이후부터 지금까지 이러한 균형을 맞추려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