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비춤]경남 지역축제 얼마나 많나

한 해 동안 경남지역에서 열리는 축제는 몇 개나 될까? 경남도가 자치단체별로 대표축제라 할 수 있는 축제(축제기간 3일 이상 기준)를 집계했는데, 6월 현재 열리거나 개최 예정인 축제는 총 43개로 나타났다.

시군별 마을 단위로 열리는 마을 축제나 소규모 축제, 올해 처음으로 열리는 축제까지 포함하면 이것보다 몇 배나 많다.

시군별로는 창원시가 7개로 가장 많았고 △진주시, 사천시 4개 △거제시, 하동군, 창녕군, 합천군 3개 △통영시, 김해시, 남해군, 고성군, 함양군 2개 △양산시, 밀양시, 거창군, 산청군, 함안군, 의령군 1개 등이다. 이들 축제의 총 예산만도 240억 원에 이른다. 산술적으로 1개 축제당 평균 5억 6000만 원의 예산이 소요된다고 볼 수 있다.

과거 경남의 지역 축제 개최 건수는 지금보다 배 이상 많았다. 경남발전연구원이 지난 2011년과 작년에 낸 축제 관련 연구 자료에 따르면 2006년 56건에서 2009년 112건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2010년 121개로 정점을 찍었다가 2013년 70개, 2014년 57개로 가파른 감소 추세를 보였다. 2010년과 올해를 비교하면 축제 건수가 65% 정도 줄어든 셈이다.

이렇게 축제 개최 건수가 급격하게 준 것은 정부의 축제 통폐합 정책 때문이다.

무분별한 축제 난립과 차별성 없는 축제 등으로 예산 낭비가 심하다는 지적에 따라 정부가 축제 통폐합 정책을 추진하면서 경남은 물론 전국의 축제 건수를 줄이는 효과로 나타났다.

하지만 축제 통폐합 논란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축제의 숫자만으로 통폐합해야 한다는 논리는 거의 사라졌지만 유사성·중복성·무차별성 등 축제의 고질적인 병폐는 예전이나 지금이나 별반 달라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경남지역 대부분의 축제가 4~5월, 9~10월에 집중돼 축제 경쟁력을 심각하게 떨어뜨린다는 점도 역시 해묵은 문제다.

이런 상황에서 자치단체별로 한 해 축제에 적게는 수억 원에서 많게는 수십억 원의 예산을 들이는 게 적절한지도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축제의 자생력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계속 제기되는 이유가 바로 그 때문이다.

경남지역에서 가장 성공적인 축제로 평가받는 진주남강유등축제도 자생력에서만큼은 자유로울 수 없다.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재정자립도는 43%로 높은 편이나 35억 원에 이르는 축제비용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축제에 지원되는 국·도비가 계속 준데다 진주시 자체 부담이 지난해 13억 원에서 올해 16억 원으로 늘었다. 앞으로 국·도비 지원도 한시적이다. 진주시로서는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래서 진주시는 축제장 전체를 유료화하는 방안을 내놓으며 자구책 마련에 나섰다.

다른 지역 대부분의 축제는 더 열악하다. 국·도비나 자체 부담 외에 재원을 마련할 방안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더 심각한 것은 무산 위기에 놓인 축제도 있다는 것이다.

경남도가 최근 지방 재정 건실화를 내세우며 2017 산청 세계전통의약엑스포(도비 50억 원)와 합천군 2017 대장경세계문화축전(도비 22억 원)에 예산을 지원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경남도의 갑작스런 결정에 해당 자치단체는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도비 지원 없이는 축제를 치르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처럼 지역 축제를 둘러싼 대내외적인 환경은 녹록하지 않다. 더불어 과거와 현재에 머무르고 답습하는 지역 축제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는 갈수록 높아질 것이다.

앞으로 지역 축제의 생존과 성공 여부는 자치단체의 인식 전환과 함께 획기적인 축제 변화에 달려있다고 볼 수 있다.

06.jpg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