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진정으로 바란다" 애초 태도와 달라
정치자금법 위반 재판 관련 조사 불응 태도
출석요구서 수령도 거부…피의자 적시돼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 공천 개입 의혹에 연루된 민간인 명태균(사진) 씨가 “진술을 거부할 수 있다”며 민중기 특별검사단과 거리를 뒀다. 특검에서 출석을 통보했지만 실제로 거부하는 등 특검을 환영하던 모습과 정반대 태도를 드러냈다.

명 씨는 21일 창원지방법원 형사4부(김인택 부장판사, 강웅·원보람 판사) 심리로 열린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사건 공판에 피고인으로 출석했다. 명 씨는 2022년 보궐선거와 2024년 22대 국회의원 선거 공천을 매개로 김영선 전 국회의원과 8070만 원을 주고받았다는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등으로 재판을 받고 있다.

이날 오후 특검에서 수사관을 보내 출석요구서 전달을 시도했으나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출석요구서에는 뇌물공여·정치자금법 위반 등 혐의 피의자로 적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명 씨는 이날 오전 재판 출석 전 취재진에 “재판받는 것을 왜 중복해 진술하겠느냐”며 민중기 특검 수사 진술 조건부 거부 의사를 드러냈다.

명태균 씨 자료사진. /경남도민일보 DB
명태균 씨 자료사진. /경남도민일보 DB

앞서 명 씨 변호인은 “특검 수사 내용은 지난해부터 검찰에서 다 조사받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진술을 거부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명 씨도 이날 비슷한 취지에서 “재판과 관련되지 않은 것은 모르겠는데 재판받는 것을 또 조사받을 이유는 없잖으냐”고 말했다.

민중기 특검 수사 핵심 중 하나는 윤 전 대통령과 김건희 씨 부부가 20대 대통령 선거 당시 명 씨에게 무상 여론조사를 받은 대가로 2022년 보궐선거 때 김 전 국회의원 공천에 개입했다는 의혹이다. 명 씨가 재판을 받는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사건과도 연결된다. 명 씨 측 주장은 공천 개입 의혹과 맞닿은 사건이 이미 재판 중인 만큼 재조사는 거부하겠다는 취지로 읽힌다.

반면, 지난 2월 명 씨는 변호인을 통해 “특검은 내가 진정으로 바라는 바”라고 말하는 등 김건희 특검 출범을 여러 차례 촉구했다. 이때 그는 “공천 개입, 국민의힘, 대선 경선, 정치자금법 위반, 불법조작 여론조사, 창원 국가산단, 검사의 황금폰 증거인멸 교사, 오세훈·홍준표 시장이 고소한 사건까지 명태균과 관련된 모든 의혹을 특검 내용에 꼭 포함해달라”고 강조했다.

윤 전 대통령 부부 공천 개입·정치자금법 위반 사건을 비롯해 의혹 대부분 특검 수사가 필요하다고 요구했던 셈이다. 하지만 이날 명 씨는 “처음 특검을 요구했던 것은 억울해서”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특검을 요구하자 (검찰이) 중간발표하고 강혜경(공천 개입 의혹 제보자), 김태열(여론조사업체 미래한국연구소 전 소장), 김영선을 기소한 것 아니냐”며 “검찰도 여태까지 수사한 것을 특검에 검사받아야 할 텐데, 그러니까 중간 발표했지 않느냐”고 주장했다.

명 씨 의혹을 수사했던 창원지방검찰청은 지난해 12월 김 전 의원과 명 씨를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겼다. 창원지검은 윤 전 대통령 부부를 조사하지 않으면서 지난 2월 김 전 의원과 강혜경 씨 등을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등으로 추가 기소했다.

명 씨는 “당시 나를 추가 기소한 것 있느냐”며 “(검찰이) 먼지떨이로 뭔가 나올 듯해서 여태까지 끌고 왔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특검에서 조사받겠지만 재판받는 내용을 받을 이유는 없잖으냐”고 재차 강조했다.

민중기 특검은 이달 29일 윤 전 대통령, 내달 6일 김건희 씨를 각각 불러 조사하기로 했다. 수사 개시 3주 만에 의혹 핵심인 윤 전 대통령 부부 소환을 통보했다.

/최환석 기자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