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남부권 토론회 통영서 열려
부산·창원권 집중 빨대 효과 지적
메가시티-행정통합 차이 질문도

17일 오후 통영시립충무도서관에서 열린 경남-부산 행정통합 시민대토론회에서는 부울경 메가시티와 행정통합의 차이가 여전히 화두에 올랐다.  행정통합 필요성이나 의미를 이해하기보다 도지사가 바뀌면서 달라진 정책 정도로 인식하는 시민 질문이 이어졌다.

이날 토론회는 거제·통영·고성 남부권 도민이 대상이다. 부산경남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가 계획한 경남 4개 권역 가운데 동부권(양산), 서부권(진주)에 이어 세 번째 토론회다.

정수만(국민의힘·거제1) 경남도의원이 ‘행정통합과 남부권 미래는?’이라는 주제로 부산·창원권 집중에 따른 빨대 효과와 남부권 소외론을 지적했다.

정 도의원은 “남부권은 동부·중부·서부권에 비해 면적·인구·경제력 등에서 열세 지역”이라며 “지역 내 모든 논의가 다른 권역 위주로 이뤄질 가능성이 있어 가뜩이나 소수지역인 남부권이 더욱 소외 길로 접어드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남부권 발전 방안을 모색해 행정통합으로 얻는 시너지 효과를 높여야 한다”며 SOC 확충과 해양·수산·조선·관광 산업 집중 육성을 제안했다.

이어진 질의응답에서 거제시 옥포동 한 주민자치위원은 “메가시티와 행정통합 차이가 뭐냐, 포장지만 바꿔 들고 나온 거 아니냐”면서 “도지사 임기 3년이 지난 이 시점에 왜 다시 들고 나왔는지 궁금하다”고 물었다.

이에 대해 ‘행정통합의 올바른 이해’를 주제로 기조발제를 한 하민지 경남연구원 연구위원은 “메가시티는 인구 수 1000만 명 이상을 칭하는 용어로 정책적 목표이고, 특별연합과 행정통합이라는 수단 중에서 실효성 있는 행정통합을 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원식 공론화위원회 기획소통분과위원장도 “분권과 지역균형발전이라는 목표는 똑같지만, 접근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며 “메가시티는 특별(지방자치)단체를 만들어야 하는데 그 실체가 모호한 반면 행정 통합은 훨씬 강력한 집행단체를 만드는 것”이라고 밝혔다.

정수만 도의원은 “박완수 도정은 메가시티 중간단계인 특별연합 기구를 없애고 신속하게 진행하고자 행정통합을 내놓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전호환 공론화위원회 공동위원장은 “지난해 공론화위원회 출범 이후 준비해온 토론회가 비상계엄으로 늦어졌다”라면서 “최근 울산시도 부산-경남 행정통합이 주민투표로 성사되면 통합 검토를 밝힌 만큼 차질 없이 추진할 수 있도록 더 많은 관심을 보여달라”고 당부했다.

경남 권역별 마지막 토론회는 25일 창원컨벤션센터(중부)에서 열린다.
/정봉화 기자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