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지역 현안 22개 국정과제 반영 총력
의과대학 신설 등 건의 사업 발굴보고회 개최
창원시가 새 정부 국정과제를 설계할 국정기획위원회 출범을 앞두고 국정과제에 반영할 지역 현안 사업 22건을 준비했다. 창원 방위·원자력 융합 국가산단(제2국가산단) 추진, 창원 지역 의과대학 신설 등이 포함됐다.
시는 13일 건의 사업 발굴 보고회를 열고 새 정부 기조에 맞춘 핵심 현안을 정했다.
우선 새 정부 목표인 ‘K-방산 4대 강국’ 실현을 선도할 현안을 추려냈다.
개발제한구역(GB) 국가 전략사업 재심의를 앞둔 △경남 K-방산 국가첨단산업단지(제2국가산단) 조속 추진 △방산 부품 국산화 연구개발(R&D) 전담기관(방산부품연구원) 설립 △소부장 중심 방산 연구개발 인프라(첨단 복합빔 조사시설) 구축 등이다.
이와 함께 △창원 제조 특화 인공지능(AI) 혁신 인프라 구축 △창원국가산단 혁신선도형 첨단산업구조 대전환 △미래 모빌리티(드론) ‘첨단 제조 K-퀀텀점프 프로젝트’ 추진 △자유무역지역 토지분양전환제도 개선도 요청한다.
이 대통령이 공약한 ‘부울경 육해공 트라이포트 전진기지 구축’에 발맞춰 진해신항을 중심으로 한 사업도 제안했다. △진해신항 트라이포트 항만배후단지 조성 △창원 트라이포트 물류 융합 중심지 육성(창원 국제물류특구 조성) △동대구~창원~가덕도 신공항 고속화철도 건설 △급행철도 CTX-진해선 구축 △가덕도 신공항 접근철도 ‘신항만역’ 신설 등이다.
비수도권 유일 특례시임에도 실질적인 행정·재정적 권한이 부족한 현 상황을 풀기 위해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특례시 지원에 관한 특별법’ 통과와 비수도권 특례시 기준 완화 등도 건의하기로 했다.
이 대통령이 ‘대한민국 어디에서든 제대로 치료받을 수 있도록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를 표명했던 만큼 창원지역 의과대학 신설 추진도 주요 현안으로 정했다.
장금용 시장 권한대행은 “창원과 대한민국의 미래를 밝히기 위한 사업들이 국가정책에 반영되어 지속 가능한 성장의 발판이 마련될 수 있도록 국정기획위원회가 활동하는 60일 동안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우귀화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