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9∼30일 이틀에 걸쳐 이뤄진 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최종 투표율은 34.74%를 기록했다. 이는 2022년 20대 대선 당시 36.93%보다 다소 낮은 기록이다. 경남도 31.71%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 전북과 전남·광주가 50%를 넘은 반면, 경남·경북·부산·울산은 30%대, 대구는 25.63%로 가장 낮았다.

그러나 아직 선거는 끝나지 않았다. 3일 본투표가 남아 있다. 대선은 전국에서 대통령 한 명만을 선출하는 선거이기 때문에 국회의원선거나 지방선거보다 시민의 관심이 상대적으로 높고, 투표율도 상대적으로 높다. 2007년 17대 대선을 제외하고 대선 투표율은 70%를 넘었다. 그리고 최근에 치러진 19대와 20대 대선 투표율은 각각 77.2%와 77.1%를 기록했다. 청년층의 투표 참여 증가가 투표율 상승에 이바지한 측면이 있다.

사전투표를 포함해 선거에서 투표율이 높다는 것은 정치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그만큼 많은 시민이 해당 선거에 관심을 두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시민이 주권자로서 자신의 권리를 적극적으로 행사했다는 것을 말해준다.

즉 주권자가 누구인지를 정치인들에게 확인시켜주는 의미가 있다. 더 중요하게는 당선자에게 정치적 정당성(legitimacy)을 부여하는 동시에 책임성(accountability)과 응답성(responsiveness)을 요구하는 것이기도 하다.

주권자로서 자신의 한 표를 행사하는 데 있어 이번 선거에서 고려해야 할 것은 투표를 하는 '마음'과 '목적'이다. 이번 선거는 윤석열 전 대통령 주도의 반헌법적 내란 때문에 치러지는 선거이다. 수많은 시민이 목숨 걸고 민주주의를 지켰기 때문에 지금 우리는 자유롭게 한 표를 행사할 수 있다. 주권자 한 명이 가진 한 표의 무게가 절대 가볍지 않다.

또한, 이번 대선에서 행사하는 한 표는 한국 민주주의의 현상 유지가 아니라 더 나은 민주주의로 한 걸음 도약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선거이기도 하다. 따라서 주권자는 한 표의 의미와 무게를 아는 후보가 누구인지를 신중하게 고민해 선택할 필요가 있다. 나와 우리의 미래가 주권자의 손에 달렸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