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3일부터 7월 중순까지
공론화위, 두 지역 8회 진행
양 연구원 공동연구도 추진
시도민 인지도 조사 계획도
경남-부산 행정통합 시·도민 토론회가 6월 13일부터 7월 중순까지 권역별로 마련된다. 부산·경남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공동위원장 전호환·권순기)는 13일 진주시 케이(K)-기업가정신센터에서 제6차 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첫 토론회는 6월 13일 양산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릴 계획이다. 이를 포함해 7월 중순까지 경남과 부산에서 각각 네 차례씩 권역별 토론회가 모두 8회 진행된다. 토론회 기간 온·오프라인 매체로 홍보와 소통도 병행한다.
토론회에는 공론화위원은 물론 외부 전문가, 시·도민이 함께 참여해 경남-부산 행정통합 필요성과 기대효과 등을 두고 다양한 의견을 주고받는다. 애초 행정통합과 관련해 시·도민 의견을 모을 토론회는 올 3월 말 개최 예정이었으나 산청·하동 산불, 6.3 대통령선거 등으로 일정이 연기됐다.
공론화위는 토론회를 마무리하고 시·도민 인지도 조사에 나선다. 이날 위원들은 경남·부산지역 특성을 고려한 조사 문항을 두고 의견을 나누기도 했다.
공론화위는 하반기에도 시·도민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론화 최종 의견서를 작성해 양 시도지사에게 전달할 계획이다.
이번 회의에서도 기획·소통분과, 자치분권분과, 균형발전분과 등 분과별로 논의가 진행됐다.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지방세 등 자주재정권 특례 방안 △경남·부산 주력산업육성기금 조성 △규제자유특구·투자선도지구 관련 권한 이양 특례 방안 등이 안건에 올랐다.
특히 6월부터는 경남·부산연구원 공동 연구용역이 추진되는데, 공론화위도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의견을 제시했다.
이날 공동위원장을 비롯해 위원 20여 명이 참석했으며, 일부 위원 사임 요청으로 위원 구성 변경도 의결했다. 공론화위는 지난해 11월 행정통합 기본구상안이 나오면서 경남·부산지역 전문가 15명씩 모두 30명으로 꾸려졌다. 이번 회의는 부산·경남 윤번제 개최 원칙에 따라 경남 진주에서 열렸다.
/이동욱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