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훈, 경남·부산 통합지방청사 양산 유치 주장
강태영, 울산 제외 우려 부울경 메가시티 2.0 강조
양산시의회에서 경남·부산 행정통합을 두고 '양산 역할론'을 강조하면서도 여야 간 미묘한 온도 차를 보였다.
정성훈(국민의힘, 물금 범어) 시의원은 17일 임시회 1차 본회의 5분 발언에서 "양산에 통합지방정부 청사를 유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시의원은 "양산시는 부산 동부권과 북부권을 연결하는 접합부 역할을 하고 있으며, 대구·경북권과도 가까워 향후 확장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주력해 청사 유치 당위성을 주장해야 한다"며 "경남·부산 간 행정통합이지만, 종국적으로는 동남권이 함께 가야 한다는 점을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행정통합 논의에서는 제외됐지만 울산은 여전히 1인당 지역 내 총생산(GRDP) 전국 1위 도시로 대한민국 공업수도 역할을 맡고 있다"며 "양산은 울산과도 접해 있다는 점을 십분 활용해야 하며, 이를 위해 현재 부산시청에 있는 경부울 초광역경제동맹 사업단을 유치하고, 운영비용을 지원하는 등 실질적인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같은 날 5분 발언에 나선 강태영(더불어민주당, 서창·소주) 시의원은 현재 국민의힘에서 추진하는 경남·부산 행정통합 한계를 지적하며 "부경 메가시티는 결국 부산 중심 모델로 울산이 빠지면 부울경 경제권 핵심 축 하나를 포기하는 것과 다름없다"며 "조선·자동차·수소 등 주요 산업 연계가 끊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강 시의원은 그 대안으로 '부울경 메가시티 2.0'을 양산이 주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 시의원은 "부울경 메가시티 2.0은 단순한 행정통합이 아닌 광역경제권 협력 모델"이라며 "교통·산업·경제를 하나로 묶어 부울경이 함께 성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양산이 스스로 역할을 찾지 못하면 수도권 집중과 지방 소멸 속에서 변두리로 밀려날 것"이라며 △경부울 30분 생활권 구축 △기회발전특구 지정 △RE100 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핵심과제로 제시했다.
/이현희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