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당, 야 5당 원탁회의로 단일화 가능성 커
진보정당 단일 후보 내기 위한 움직임 계속
진보정당이 양당 대결로 흘러가는 선거 분위기를 타개하고자 고군분투하고 있다. 진보당은 다른 정당과 연대하면서 외연을 확장하고 있으며, 정의당 등은 진보정당 단일 후보를 내기 위한 움직임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
진보당은 다당제 정치연합으로 방향을 잡은 모양새다. 진보당은 최근 김재연 상임대표를 대선 후보로 선출하고, 야 5당 원탁회의에 동참하면서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
15일 출범한 원탁회의는 “내란 세력 재집권을 저지하기 위한 연대가 필요하다”며 “내란 종식을 위한 내란 특검을 하고, 반헌법행위 특별조사위원회 설치에도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민주헌정수호 다수 연합을 실현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며 “대선 직후 교섭단체 요건 완화 논의를 마무리하고 결선투표제 도입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원탁회의에서 논의된 사항은 진행되고 있다. 정춘생(비례) 조국혁신당 의원은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선거에서 투표자 과반의 지지를 받지 못하면 2차 결선투표를 시키는 내용이다. 현행법에서는 1표라도 더 많이 득표한 후보가 당선자로 선출되는 구조다.
원탁회의에 참가한 정당은 선거연합을 넘어서 더불어민주당과 야권 대선 후보 단일화에 동참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그렇게 되면 원탁회의에서 나온 안건들이 대선 공약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게 된다.
진보정당 단일 후보를 내기 위한 활동도 이어지고 있다. 사회대전환대선연대회의는 경선 후보로 나선 권영국 정의당 대표와 한상균 노동자계급정당건설추진준비위원회 대표 초청 간담회를 23~25일 온라인으로 생중계한다고 밝혔다.
연대회의는 진보정당 단일 후보를 위해 정의당과 녹색당, 노동당 그리고 시민사회와 노동계 등이 참여한 단체다. 이들은 정당 소속이 아니더라도 1만 원을 내고 선거인단으로 경선에 참여할 수 있게 했다. 23일 기준 선거인단 수는 약 5000명이다.
연대회의 단위에서 선거 후보를 내는 방식은 처음이다 보니 진통이 있다. 먼저 양당 중심으로 흘러가는 대선 분위기 속에서 활동 자체가 주목받지 못한다는 게 큰 벽이다. 아울러 정당과 시민사회가 연대하는 과정에서 토론회 개최나 선거인단 구성이 선거법에 걸리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연대회의는 일단 최종 선출한 후보는 정의당 이름을 앞세워 활동하는 것으로 선거법 제한을 벗어나기로 했다.
진기영 연대회의 집행위원장은 “진보 정치가 소멸할 수 있는 상황에서 독자적인 진보 정치의 세력이 동행을 지속하자는 취지에서 연대회의가 만들어졌다”라며 “대선에서 득표는 자신할 수 없지만, 광장에서 나온 다양한 목소리를 대변할 정치 세력이 있다는 점을 공개적으로 알리게 된다면 그들에게 정치적 희망과 대안을 줄 수 있을 거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다솜 기자·연합뉴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