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연구원 정책 보고서 내고 제안
도내 외국인유학생 꾸준히 증가세
'경남 비자' 발급해 신분 불안 해소
대학-상공회의소 협력 지원 체계도
점점 늘어나는 외국인유학생이 졸업 후에도 지역에 정착하게 하려면 비자 특례와 기업체 연계 체계가 구축돼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경남연구원은 21일 '경남의 외국인유학생이 지역에 정착하려면?'(심인선 선임연구위원·이혜진 연구위원)이라는 정책 보고서를 냈다.
도내 외국인유학생은 2019년 3640명, 2020년 3407명, 2021년 3950명, 2022년 4414명, 2023년 4993명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이 기간 연평균 증가율은 8.6%로 전국 평균(7.1%)보다 높았다.
2023년 기준 국가별로는 베트남이 2545명(51.0%)으로 가장 비중이 컸으며 중국 758명(15.2%), 우즈베키스탄 608명(12.2%), 몽골 312명(6.2%), 미얀마 159명(3.2%) 순이다.
체류 지역은 김해 1693명(33.9%), 창원 1583명(31.7%), 진주 939명(18.8%), 양산 411명(8.2%), 거제 217명(4.3%) 등으로 나타났다. 인구감소지역인 밀양과 군지역은 거창 84명(1.7%), 밀양 27명(0.5%), 함안 5명(0.1%)이었다.
경남도는 국외 인재를 2026년 5000명, 2027년 7000명, 2028년 1만 명까지 유치하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과 교육발전특구로 기술 인력, 고급 인재를 유치할 계획이며 유학비자가 있는 외국인이 취업비자로 전환해 경남에 정착하도록 설계하고 있다.
또 마산대(뿌리산업), 거제대(용접 등), 거창대(모빌리티), 남해대(조선용접·항공제조), 동원과기대(조선기계), 승강기대(승강기)에서 특성화 분야별 학위 과정도 운영하고 있다. 이 과정은 마산대가 주관한다.
연구원이 지난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도내 외국인유학생 94.5%는 한국에 남아 취업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반면 기업은 연구개발·전문기술보다는 생산 기능과 단순노무 업무 채용에 관심이 있었는데, 대졸 유학생인 기술인재 연계 경험이 없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경남형 외국인유학생 취업 인력'을 구성하려면 전문 지식, 기술 또는 기능 분야에 종사할 수 있는 E-7(특정활동 비자) 특례를 추진해 '경남 비자'를 발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를테면 도내 대학을 졸업하고 한국어능력시험 3급 이상 또는 사회통합 프로그램 3단계 이상을 이수하면 지역 기업체에 취업하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도는 이달 초 자치단체가 지역 특성에 맞는 비자 발급 요건과 모델을 설계하는 법무부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에 선정됐다.
아울러 연구진은 외국인유학생 취업 지원을 위해 도내 대학과 경남상공회의소협의회 연계 체계도 구축해야 한다고 짚었다. 경남상의협에 외국인 취업 지원 기능을 신설해 마산대가 주관하는 특성화 과정과 연결하고, 또 협의회에 '중소기업 구인뱅크'를 설치해 각 학교를 졸업한 외국인유학생 중 취업 지원자를 연결하자는 의견이다.
심인선 선임연구위원은 "우선 비자 특례로 신분상 불안을 해소하고, 도내 대학-경남상공회의소협의회 등 연계 취업지원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며 "도정 핵심사업, 청년 대상 사업, 교통 지원 등 도민 대상 사업을 외국인유학생에게도 똑같이 적용해 졸업 후 지역에 정착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동욱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