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항만인프라 기본계획 반영 건의
항만공사 명칭·위원 추천권 정상화도
입주기업 지원 비즈니스센터 예산 확보
어업피해 있는 시군까지 사업 확대 강조

3월 진해신항 착공을 앞두고 경남도가 관련 사업 절차와 현안 해결을 정부에 요청했다.

해양수산부는 2045년까지 14조 원을 들여 세계 최대 규모인 3만 TEU(20피트 컨테이너 박스)급 접안시설과 대규모 항만 배후단지를 갖춘 세계 최대 항만시설로 진해신항을 확보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지난해 8월부터 광양항 시험장에서 축적한 국내 기술 성과를 바탕으로 항만 운영을 자동화·지능화한 '스마트 메가포트'로 진해신항을 조성한다.

도는 부족한 항만 배후단지를 확보하고자 지난해 5월 국토교통부에 지역·국가전략사업(육상부 698만 ㎡)을 신청했고, 사전 평가와 현장 평가를 거쳐 최종 선정을 앞두고 있다.

가덕도신공항과 진해신항 예상 조감도. /경남도
가덕도신공항과 진해신항 예상 조감도. /경남도

또한 진해신항~진례 간 고속도로 신설 등 교통 인프라 5건(3조 7354억 원 규모), 항만근로자 후생복지시설(기숙사·복지관) 등 항만 인프라 3건(2005억 원)을 제4차 항만기본계획에 반영하고자 해수부와 협의 중이다.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는 13일 도청에서 남재헌 해수부 항만국장과 면담했다.

이날 박 부지사는 최근 논란이 된 항만공사 명칭과 항만위원 추천권도 진해신항 착공 전에 정상화해달라고 건의했다. 국회에서 부산항만공사 명칭을 '부산경남항만공사'로 바꾸는 법안이 발의됐지만, 부산항만공사와 부산지역 단체들은 부산항 운영 기관 명칭이 세계 브랜드여서 바꿀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항만공사법 시행령에는 광역단체장들이 항만위원을 3명 이내로 추천한다고 규정돼 있다. 현재 부산 2명과 경남 1명으로, 공사가 설립된 2004년부터 추천권 비율이 유지되고 있어 경남 쪽에서는 이 역시 변화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해수부 용역을 거쳐 필요성이 도출된 비즈니스센터와 관련해 박 부지사는 착공에 맞춰 센터 설계비를 내년 예산에 반영해달라고도 요청했다. 센터는 입주 기업에 일괄 항만 서비스를 지원하는 곳이다.

또 착공 시기인 다음 달 중으로 신항만 예정지역 지원사업 계획을 확정하고, 사업 범위를 어업 피해 영향이 미치는 시군까지 확대해달라고 건의했다.

부산항 신항은 2023년 말 기준 연간 컨테이너 1600만 TEU(20피트 컨테이너 박스)로 전국 컨테이너 물동량 54%를 처리하고 있다. 현재 29개 선석을 운영 중인 신항은 경남 10선석과 부산 19선석이지만, 진해신항 조성 이후 2032년에는 경남 24선석(51%)과 부산 23선석(49%), 2040년에는 경남 36선석(61%)과 부산 23선석(39%)으로 예상된다.

/이동욱 기자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