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류 고농도 조류 피해 예방 수심별 취수시설 설치
2026년 가동 목표, 부산시 177억 원·양산시 26억 원 분담

양산시와 부산시가 첫 지자체 상생모델로 주목을 받은 지방 광역상수도 사업을 본격화한다. 

사업은 낙동강 하류지역인 양산·부산 고농도 조류 피해를 예방하고 안전한 상수원수을 확보하려는 취지로, 그동안 환경부 또는 한국수자원공사 주도로 이뤄졌던 광역상수도 사업과 달리 지자체 간 협의를 바탕으로 사업을 추진한 첫 사례다. 현재 물금취수장에서는 부산시가 84만t, 양산시가 12만 5000t 규모 원수를 하루에 취수할 수 있는 시설을 각각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 취수한 원수를 부산시는 화명정수장·회동수원지에, 양산시는 신도시·범어정수장으로 공급하고 있다. 

문제는 최근 이상기후 등 영향으로 고농도 조류 발생이 늘어나면서 낙동강 표층수를 원수로 사용하는 물금취수장에 각종 유해 물질과 조류 유입 가능성도 커져 먹는 물 안정성을 위협받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부산시가 기후변화 대비 최적 취수방안 수립 기본구상 용역을 추진한 결과, 양산시와 지방 광역상수도 사업을 추진하기로 하고 지난해 8월 '상생적 물이용을 위한 지방 광역상수도 건설 상호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사업은 물금취수장 낙동강 일원에 하루 96만 5000t 규모 광역 취수시설을 추가로 설치하고 취수관로를 연결하려는 것이다. 이곳에서 취수한 원수는 부산에 84만t, 양산에 12.5만t을 각각 공급한다. 전체 사업비는 290억 원 규모며 국비 87억 원을 포함해 부산시 177억 원, 양산시 26억 원을 부담하기로 했다.

무엇보다 안전한 상수원수를 확보하고 원활한 물 공급체계를 구축하고자 수심별(1·5·10m)로 선택해 원수를 취수할 수 있는 취수탑 방식을 적용한다. 일반적으로 유해 남조류 세포 수는 표층 아래 1m 30%, 8m 75%, 10m 90% 이상 줄어들기 때문에 해마다 기온이 올라가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녹조에 대응하려는 것이다. 사업은 부산시가 맡아 진행하고 내달께 공사에 들어가 내년 12월까지 마무리하고 시운전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현희 기자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