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히 중앙선관위 국감
김영선 전 의원·명태균·강혜경 증인 출석 예고
민주당, 강 씨 증언 지원 여부에 "말 아끼겠다"
또 다른 당사자 '창원 의창' 김 의원 입도 주목
국회 국정감사에서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 공천 개입 의혹 관련 ‘녹취 파일’이 등장할지 관심을 끈다.
이번 국감은 ‘김 여사 국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김 여사에게 제기된 의혹은 △코바나컨텐츠 뇌물성 협찬 △명품 가방 수수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가담 △양평고속도로 노선 변경 △해병대 채모 상병 사망사건 수사 외압 △인사 개입 등 한 손으로 꼽기 어렵다. 이 중 국정농단으로 비화한 ‘공천 개입 의혹’은 정권 명운을 가를 수도 있는 가장 큰 쟁점이다.
◇민주당, 공천 개입 증언 지원하나 =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번 국감은 윤석열 정권 2년 6개월 폭주를 끝장내고 희망의 대한민국을 만드는 ‘새 역사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며 “김건희 국정 농단 의혹에 운영위·법제사법위·행정안전위·국토교통위·국방위 등에 전방위적인 ‘압박 국감’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김건희 여사 공천 개입 의혹에 연루된 핵심 인물들 국회 증인 출석에 눈길이 쏠릴 수밖에 없다. 김영선 전 국회의원과 정치 컨설턴트 명태균 씨, 김 전 의원 회계책임자 강혜경 씨 등이 증인으로 예고된 상태다.
김 전 의원은 강 씨 입을 통해 김 여사 개입으로 2022년 창원 의창 국회의원 보궐선거 공천을 받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명 씨는 언론 보도를 통해 김 여사와 소통하며 김 전 의원이 공천을 받도록 조력하고 세비를 나눠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강 씨는 이들이 벌인 공천 개입과 지역 정치 농단과 관련한 핵심적인 증언과 증거들을 풀어낼 가능성이 크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들은 1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 여사 공천 개입을 규명할 방침이다. 이에 김 전 의원과 명 씨, 강 씨를 증인으로 채택했다. 강 씨는 국감에 출석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다. 명 씨와 강 씨 주장이 엇갈리면서 핵심은 이를 규명할 녹취 파일 존재 여부가 될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국감장에서 이 파일이 공개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3일 한 라디오 방송에서 “민주당이나 야권 쪽에서 틀어도 괜찮다. 면책특권으로 지켜주겠다고 얘기할 것 같다”며 “다만 제보자(강 씨)가 그 부분(통신비밀보호법 위반)에 고민이 크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당 차원에서 김 여사 공천 개입 의혹 규명에 나선 민주당은 녹취 공개에 말을 아끼고 있다. 이 건과 관련해 강 씨와 연락한 한 민주당 의원실 관계자는 “일이 잘못 틀어지면 강 씨가 돌연 마음을 바꿀 수도 있어 접촉에 관한 어떠한 정보도 이야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민주당 의원실 관계자도 “당에서 직접 챙기고 있어 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창원 의창’ 김종양 의원에게도 쏠리는 눈 = 11일 국감에서 주목해 볼 지점은 김종양(국민의힘·창원 의창) 의원 표정과 태도다.
김 의원은 2022년 창원 의창 보궐선거 당시 9명이 난립한 공천 신청자 중 가장 유력한 후보로 거론됐다. 경남지방경찰청장과 인터폴 총재를 지낸 이력에 앞서 몇 차례 선거에 나서 인지도가 높았다. 당시 ‘윤석열 핵심 관계자’(윤핵관)라고 불리던 이들이 그를 암묵적으로 지지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언론 보도로 드러나기도 했다. 명 씨 전화 녹취를 토대로 애초 윤핵관들은 김 의원에 힘을 싣고자 했으나, 명 씨가 김 여사와 만나 김영선 전 의원이 공천을 받도록 바꿨다는 언론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어쩌면 김 의원은 김 여사 공천 개입 ‘희생양’이자 ‘피해자’로 볼 수 있다.
김 의원은 ‘김 여사 공천 개입 의혹’이 수면으로 떠오른 직후 기자들과 만나 올해 22대 총선 과정에도 이상한 여론조사에 고개를 갸웃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기존에 내가 알던 것과는 다른 창원 의창 여론조사 결과가 나와 분석해보니 내가 나고 자란 북면지역 표본만 확 줄여 조사한 게 눈에 띄었다”면서 “이때 여론 조작 가능성도 염두에 둔 적이 있다”고 말했다.
명 씨가 지역 정치인 또는 출마하려는 이들과 관계를 맺는 주요 매개체가 ‘맞춤형 여론조사’였다. 이날 국감 대상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고, 그 산하 여론조사심의위원회도 포함한다. 이에 여론조사 맹점을 매개로 명 씨와 김 여사 등의 22대 총선 공천 개입 관련 새로운 사실이 밝혀질지에도 눈길이 쏠린다.
/김두천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