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헌·당규개정특위 민심 비율 비대위 넘겨
긴급 중진 간담회 당권 주자들 엇갈린 반응
13일까지 결정 후 상임전국위, 전국위 추인
지도체제는 현행 당 대표 1인 체제로 굳어져
새 지도부를 뽑는 전당대회를 앞둔 국민의힘이 당 대표 선거 규칙을 두고 고민이 깊다. 현행 당원 투표 100%인 당 대표 선거 방식을 바꾸는 것에는 대부분 동의하지만, 민심(일반 국민 여론조사) 반영 비율을 두고는 20% 또는 30%로 의견이 갈리고 있다.
국민의힘 당헌·당규개정특별위원회는 12일 전당대회 당 대표 선거 규정에 민심을 20~30% 반영하는 안을 비상대책위원회에 넘기기로 했다. 아울러 당 대표는 한 명만 뽑는 현행 단일 지도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여상규 특위 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앙당사에서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당심 80%, 민심 반영 비율 20% 안’과 ‘당심 70%, 민심 30% 안’ 둘을 각각 반영한 당헌·당규 개정 초안을 비상대책위에 넘기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그는 “총선 전 당 대표 선출과 관련해 당원 선거인단 투표에 의해서만 결정돼 왔지만 당 대표도 민심을 들어볼 필요가 있기에 20~30%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있었다”며 “당헌·당규 개정과 관련해 민심을 지도부 구성 또는 당 대표의 정책 결정에 그대로 반영되면 당에서는 민심을 충분히 수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위원장 포함 위원 7명 가운데 ‘80대 20’, ‘70대 30’ 안에 각각 3명이 찬성했고, 한 명은 중립 의사를 밝혔다. 여 위원장은 “서로 얼굴을 붉힐 정도로 치열한 격론 끝에 두 안이 동시에 의결됐다”고 밝혔다. 비대위가 민심 반영 비율을 결정한다.
특위는 당 지도체제 관련해 현 단일 지도체제를 유지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에 따라 내달 열릴 전당대회에서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해 선출한다. 특위는 단일 지도체제 유지 결정에 따라 당 대표 결선투표제도 손대지 않기로 했다. 아울러 대통령 후보로 출마하면 1년 6개월 전 당직을 사퇴하도록 한 당권-대권 분리 규정도 유지한다.
당 중진들은 특위가 이 같은 결론을 내자 이날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과 예정에 없던 간담회를 했다. 비공개 회의에는 당권주자로 분류되는 나경원·안철수 의원 등을 포함해 중진 대부분이 참여했다. 황 위원장은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중요한 결정을 할 때는 최종적으로 중진들 의견을 듣는다”고 설명했다.
결론은 13일 중 나올 예정이다. 황 비대위원장은 “늦으면 전당대회에 지장이 생겨 서두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간담회에서는 민심 반영 비율 관련 중진들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안 의원은 “민심 비율을 높이는 게 우리 당이 가야 할 길”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이 민심을 25% 반영하는데 이보다 낮은 비율을 반영하면 우리 당의 반성, 변화 의지를 보여주기 어렵다. 30% 안이든 50% 안이라도 받아서 민심을 제대로 받들겠다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나 의원은 간담회 전 기자들과 만나 “어떤 규칙이 맞느냐는 여러 전당대회 상황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라며 여지를 뒀다.
지도체제와 관련해 안 의원은 “집단 지도체제를 선호하는 편”, 나 의원은 “지금은 워낙 비상 상황이라 단일 지도체제가 맞다”고 답했다.
당헌·당규 개정안은 13일 예정대로 비상대책위에서 의결되면 상임 전국위원회, 전국위원회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김두천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