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 일해공원 찾아 '상식에 안 맞다' 지적
5.18 정신 헌법 수록, 국민의힘 입장 촉구
'합천만의 문제 아냐' 정부·국토부 나서라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합천군을 찾아 "전두환 씨 호를 딴 일해공원은 현대사에서 사용해서는 안 될 이름"이라고 했다. 국민의힘에는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수록해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면 독재자 호를 딴 일해공원 이름이 합당한지 먼저 답해야 한다"고 했다.

조 대표는 22일 오후 일해공원을 찾았다. 정당 대표가 일해공원 문제로 합천을 찾은 것은 공원 이름이 바뀐 이후 17년 만에 처음이다.

'생명의 숲 되찾기 합천군민 운동본부(이하 운동본부)' 회원 등 30여 명과 함께 일해공원 표지석 앞에 선 그는 "전두환 씨는 5.18 광주 학살 주범이다. 반란과 내란 수괴 죄로 사형 선고를 받았다. 독재자 호를 빌려 군민이 이용하는 공원에 사용한다는 것은 상식과 거리가 멀다"고 말했다.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22일 합천 일해공원을 찾아 "전두환 씨 호를 딴 일해공원은 현대사에서 사용해서는 안 될 이름"이라고 했다. 조 대표가 일해공원 표지석 앞에서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김태섭 기자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22일 합천 일해공원을 찾아 "전두환 씨 호를 딴 일해공원은 현대사에서 사용해서는 안 될 이름"이라고 했다. 조 대표가 일해공원 표지석 앞에서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김태섭 기자

조 대표는 일해공원은 공원 이름을 바꾸며 지명 제정 원칙과 관련 행정 절차도 지키지 않았다고 했다. 그는 "일해공원은 '생존 인물의 인명 사용을 배제 한다'는 당시 '지명 표준화 편람' 기준에 맞지 않는다고 들었다. 합천군수는 법령에 따라 개최하도록 한 지명위원회도 열지 않았다. 상황이 이런데도 17년여간 잘못이 바로잡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재 우리나라 지명 표준화 편람에서는 사후 10년이 지난 인물도 특별한 반대가 없을 때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 대표는 일해공원을 담당하고 있는 합천군에도 전향적 자세를 촉구했다. 그는 "지난해 6월 합천군 지명위원회에서 일해공원 명칭을 원래대로 '새천년 생명의 숲'으로 하자는 안건을 부결했다. 최근 합천군은 비난이 고조되자 합천군 지명위원회의 권고라며 명칭 변경과 관련해 공론화 과정을 거치겠다고 한다. 일해공원 명칭은 옛 기준이나 지금 기준으로나 그리고 현대사의 아픔을 따져봤을 때 사용해서는 안 될 일"이라고 했다. 이어 "(문제를 해결하려면) 합천군수는 공원 이름을 원래대로 회복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조국 대표가 일해공원 표지석 뒤면에 세겨진 문구를 두고 "독재자 미화는 상식에 맞지 않다"고 설명하고 있다. 표지석 뒷면에는 '전두환 대통령이 출생하신 자랑스러운 고장임을 후세에 영원히 기념하고자 표지석을 세웁니다'라고 적혀 있다. /김태섭 기자
조국 대표가 일해공원 표지석 뒤면에 세겨진 문구를 두고 "독재자 미화는 상식에 맞지 않다"고 설명하고 있다. 표지석 뒷면에는 '전두환 대통령이 출생하신 자랑스러운 고장임을 후세에 영원히 기념하고자 표지석을 세웁니다'라고 적혀 있다. /김태섭 기자

조 대표는 일해공원 문제가 합천군만의 문제가 아니라고도 했다. 그는 "이 문제는 합천군에만 맡길 일은 아니다. 정부와 국토교통부가 나서야 한다. 지명 정비·관리 소관 부처는 국토지리정보원으로 이 사안에 '합천군이 알아서 하라'는 식으로 방치하고 있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즉각 국토지리정보원장에게 지시해서 이 문제를 처리토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문제를) 특별 대우를 하라는 게 아니라, 지명을 붙이는 원칙에 맞게 하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 대표는 지난 18일 5.18 기념식을 마친 뒤 연 기자회견에서 "합천에 일해란 이름을 유지하는 것을 납득할 수 없는 일"이라며 "이번 기회에 일해공원 문제를 다룰 수 있도록 하겠다"며 당 차원 대책 마련을 언급한 바 있다.

이날 합천 방문에서도 "운동본부 회원들의 노력을 지지한다"며 일해공원 문제를 계속 챙기겠다는 의사를 내비쳤다.

운동본부와 5.18 기념재단은 앞으로 일해공원 명칭 사용을 하지 못하도록 국회 청원 운동을 벌여 나갈 계획이다. 조만간 합천과 광주에서 청원 운동을 벌이는 한편, 함께 국회를 찾아 국회의장을 면담하고 국회 차원 문제 해법을 요구하는 기자회견도 열 계획이다.  

/김태섭 기자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